이가람 VIP 22.02.15 저녁자료

이게 갑자기 무슨 일이죠...ㅎㅎ

영국 외무장관 트러스(TRUSS)는 러시아군이 침공에 대한 계획이 없다고 주장하기 위해 국경에서 러시아군이 전면적으로 철수하는 것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러시아 남부 군대가 크림 반도에서 기지로 돌아가기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 IFAX

러시아, 미국에 곧 답변을 할 예정.

역시나.. 독일 - 러시아의 정상회담은 가스관 때문이었습니다.
독일에 장기 가격으로 가스 계속 공급 할 것이고, 놀드스트림2 가스관은 준비가 완료됐다.

푸틴 , 미국 나토와 추가 논의 준비 중
러 "일부 병력 원위치"…우크라 위기 후 첫 긴장완화 신호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987501?sid=104
- 국방부 발표…"훈련 마쳐, 다른 훈련도 계획 따라 진행" 주장
- 미 지목 D-1 조치…러 외무부 "서방 전쟁선전 실패의 날로 역사 기록"
침공 가능성을 부인해왔던 러시아는 그동안 군대의 움직임이 훈련의 일환이었음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남은 훈련도 정상적으로 수행하겠다는 내용도 함께 이야기 중입니다.
훈련을 위해 우크라이나 접경지대에 배치됐던 러시아군 부대 일부가 복귀를 시작했다고 러시아 국방부가 15일(현지시간) 밝혔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의 경고 속에 우크라이나 전쟁 위기가 일촉즉발로 고조되는 상황에서 처음으로 나온 긴장완화 신호다.
이고리 코나셴코프 러시아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부대 복귀에 관한 성명을 통해 "항상 그랬듯이 훈련이 끝나는 대로 부대들이 조직적으로 상주기지로 복귀할 것"이라고 말했다.

1월 미국 생산자물가:
월간 기준이나 연간 기준이나 모두 예상치와 이전 수치를 크게 상회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되는데요, 미리 매를 맞아서인지 증시에 별다른 반응은 없습니다.
다만 생산자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1월 생산자물가지수가 높게 나왔으니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또 다시 높게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감이 생기게 됩니다.

10년물이 2.034까지 뛰어올랐네요.
이런 지표는 결국 3월 FOMC 에서 강한 정책을 유발 시킬 수 있습니다.
일단 지정학적 리스크는 고조와 완화를 왔다갔다 하고있으니 목요일 새벽에 있는 FOMC 의사록과 엔비디아의 실적발표가 정말 중요합니다.


내일 중국이 소비자물가지수(CPI), 생산자물가지수(PPI) 가 발표됩니다.
시장컨센서스는 CPI&PPI 동반 하락입니다.
[2/14 하이난상무부, 하이난면세점 데이터 발표]
> 하이난 면세매출 고성장 지속. 1인당 구매한도 확대 & 코로나19로 인한 해외여행 제한의 콜라보
===========================
- 올해들어 하이난 면세매출은 전년대비 크게 증가하면서 100억위안에 근접. 그 중 2월 일평균 매출 3억위안
- 2/13 기준 하이난 10개 면세점 매출은 99.54억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70% 증가. 그 중 면세매출 91.99억위안 (+74% YoY), 방문자수 160.58만명 (+68% YoY), 구매건수 959.92만건 (+89% YoY)
- 2021년 면세매출 494.7억위안 (+80% YoY), 방문자수 671.5만명 (+49.8% YoY), 구매건수 7,045만건 (+106.6% YoY)
==> 중국 면세점 회복은 우리나라 면세점 종목 : 호텔신라 에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삼성 갤럭시Z폴드4에도 S펜 탑재된다...화면은 7.56인치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thelec.kr)
-S펜 관련주 = 인터플렉스
[기업 톺아보기] 오랜 적자 청산하고 반등 노리는 '인터플렉스'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thelec.kr)
올해에도 삼성전자에서 S펜을 사용하는 스마트폰 출시가 예정돼있는 만큼 성장세는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SFA반도체, "CIS·차량용반도체 등 신사업 적극 추진"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thelec.kr)
계양전기 "직원 245억원 횡령 혐의 발생"…거래정지
https://www.yna.co.kr/view/AKR20220215158700002
[시가총액 대비 기관 순매수]
삼화네트웍스, 인터로조, 오션브릿지, 제이콘텐트리, 아비코전자, 와이엔텍, 에스엠, GST, 삼영화학, 더네이쳐홀딩스, 펄어비스, 엔켐, 효성화학, 현대해상, 아모레퍼시픽, 프로텍, DB하이텍, 에코프로비엠, 코스메카코리아, 신세계, 위메이드, 테스나, 원익QnC, 이노와이어리스
*콘텐츠 : 삼화네트웍스, 제이콘텐트리
*IT반도체 : 오션브릿지, 아비코전자, GST, 프로텍, DB하이텍, 테스나, 원익QnC,
* 5G : 이노와이어리스
*폐기물 : 와이엔텍,
*화학 : 삼영화학, 효성화학
*보험 : 현대해상
*게임 : 펄어비스, 위메이드,
*2차전지 : 엔켐, 에코프로비엠,
*리오프닝 : 인터로조(칼라렌즈), 에스엠(엔터), 더네이쳐홀딩스(의류), 아모레퍼시픽(화장품), 코스메카코리아(화장품), 신세계(백화점 + 면세점)
[삼화네트웍스]
- 최근 제이콘텐트리와 함께 콘텐츠종목에서는 계속 기관매수가 잡히고 있는 종목입니다.
- 4분기 매출액 278억/영업익 90억을 기록하며 호실적을 달성했는데, 시총이 1,600억으로 콘텐츠종목안에서 시총이 낮은 종목 중 하나입니다.
- 라이센스를 판매하는데, 최근 중국에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 공시가 있었고, 국내는 '지금부터, 쇼타임' 공시가 있었는데, 이 부분들이 모두 올해 매출인식되며 실적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분기 실적 발표**
구분 : 연결
(최근 4분기 중 최대)
매출: 278억
영업익: 90억
순익: 82억)
** 최근 실적 추이 **
2021.4Q 278억 / 90억 / 82억
2021.3Q 6억 / -11억 / -9억
2021.2Q 12억 / -8억 / -7억
2021.1Q 34억 / -4억 / -2억
2020.4Q 41억 / 4억 / -7억
사유 : 드라마IP 비지니스 확대에 따른 수익성 개선
2월7일 코멘트
*콘텐츠 : 삼화네트웍스, 제이콘텐트리(콘텐츠+영화관)
[삼화네트웍스]
- 최근 송혜교 주연의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 의 중국 방영권 판매 공시가 있었는데, 이벤트 매도이후 강세가 유지되는 중이며, 오늘은 사모펀드의 매수가 다시 들어왔습니다.
- OTT와 같이 제작을 하는 것이 아닌 제작후 OTT 에 판매를 하는 형식의 기업인데.
- 하반기엔 HBO 맥스의 한국 진출시 미국 리메이크작 '멘탈리스트' 가 방여되는 이슈도 가지고 있습니다.
[특징주] 삼화네트웍스, 드라마 '지·헤·중' 中 방영권 계약…주가 영향있나 < 국내 주가 < 경제 < 기사본문 - 내외경제TV (nbntv.co.kr)
[제이콘텐트리] - 2월14일 코멘트
2월11일 실적발표 : - 컨센 상회
■ 연결 OP -75억원(적자축소 vs. 4Q20 -191억원) vs. 컨센 -177억원
(부문별 OP)
- 방송: 212억원(+2,007.8% YoY)
- 영화: -160억원(적지, 4Q20 -158억원)
** 최근 실적 추이 **
2021.4Q 2,604억 / -75억 / -187억
2021.3Q 1,957억 / -301억 / -176억
2021.2Q 1,409억 / -209억 / -321억
2021.1Q 1,201억 / -37억 / -59억
2020.4Q 913억 / -191억 / -1,033억
사유 : 콘텐트 제작/유통매출 증가 및 극장 상영 매출 회복
--> <설강화 >가 디즈니+의 오리지널 형태로 판매되면서 제작 매출이 774억원(+215%)을 기록
--> 2022년 방송 부문의 편성은 30편 내외로, 캡티브 14편, 넷플릭스 오리지널 6편(영화 1편 포함), 티빙 4편, Wiip 5편 등으로 스튜디오드래곤의 32편 이상과 비슷한 수준
- 2월 방영작 3편 모 두 넷플릭스/티빙 동시 방영도 확정
- 영화 라인업은 5편을 발표했는데, 마동석 주연 2편(범죄도시 2 포함) 및 이병헌/하정우/조진웅 주연 각 1편
--> 실적발표 이후 첫 거래일 이었던 오늘 투신, 연기금, 사모펀드의 매수세가 이어졌습니다.
--> 콘텐츠 제작은 잘 하고 있고, 적자지속인 영화관만 코로나 거리두기 이후 턴어라운드만 보여주면 됩니다.
[제이콘텐트리] - 2월7일 코멘트
- 지금 우리 학교는 공개 이후 이벤트매도성 매물이 나오며 하락이 나타났는데, 메가박스를 가지고 있는 리오프닝 관련주이기도 합니다.
- 20년 5월부터 3년간 약 20여편의 드라마 공급(이 중 약 9편의 오리지널 드라마) 계약
- 21년 8월부터 3작품(DP/지옥/지금우리학교는) 공급, 지옥과 지우학 글로벌 1위 달성
- 22년 JTBC향 15편, 넥플릭스/티빙/디즈니 등 9편 = 24편
그리고 기타 해외 OTT향 11편 추가 제작시 총 35편으로 역대 최고 규모의 컨텐츠 제작 계획
- 성과면에서 저평가라는 대신증권 애널의 코멘트가 있었습니다.
- 연기금과 사모펀드도 다시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네요.
*리오프닝 : 인터로조(칼라렌즈), 에스엠(엔터), 더네이쳐홀딩스(의류), 아모레퍼시픽(화장품), 코스메카코리아(화장품), 신세계(백화점 + 면세점)
[인터로조]
매출 348억원(YoY: +46.92%), 영업이익 89억원(YoY: +1,104%)을 기록.
지난 4분기 렌즈 수출 흐름이 좋아 호실적을 전망되고 있었는데, 수출 흐름에 맞춰 좋은 실적이 나왔습니다.(최대실적)
- 21년 연간으로 매출 1,168억원, 영업이익 282억원을 달성했는데,
- 회사에서 22년 예상치 전망공시를 했는데, 매출액 1,460억, 영업익 400억으로 전망했습니다.
-> 영업이익률 30% 목표가 됩니다.
[2022년 목표 매출액 추정 근거]
- 실리콘하이드로겔과 기능성제품의 포트폴리오 확장으로 인한 매출 확대
(최근 4분기 중 최대)
매출: 348억(예상치: 350억)
영업익: 89억(예상치: 90억)
순익: 80억(예상치: 78억)
** 최근 실적 추이 **
2021.4Q 348억 / 89억 / 80억
2021.3Q 310억 / 81억 / 61억
2021.2Q 267억 / 66억 / 8억
2021.1Q 243억 / 46억 / 41억
2020.4Q 237억 / 7억 / -12억
*IT반도체 : 오션브릿지, 아비코전자, GST, 프로텍, DB하이텍, 테스나, 원익QnC,
[아비코전자]
**분기 실적 발표**
구분 : 연결
매출: 382억(예상치: 335억)
영업익: -2억(예상치: 6억)
순익: -2억
** 최근 실적 추이 **
2021.4Q 382억 / -2억 / -2억
2021.3Q 378억 / 9억 / 6억
2021.2Q 370억 / 14억 / 21억
2021.1Q 348억 / 9억 / 12억
2020.4Q 268억 / -28억 / -27억
손익관련 - 종속회사 아비코테크㈜의 매출액 증가에 따른 적자폭 축소됨에 따라 연결손익 흑자전환
<아비코전자(주) 별도기준>
저항기 매출은 전년대비 감소했으나, 시그널인덕터, 메탈인덕터의 매출이 증가됨에 따라 전년대비 전체 매출액은 증가.
- 전년대비 원재료 및 물류비 상승으로 인한 전년대비 영업이익 감소.
--> DDR5 영향으로 메탈파워인덕터 매출증가는 기대감이 더 커지가 되는 구간입니다.
--> 그동안 사모펀드의 매도영향이 겹치면서 약세였는데, 오늘 저가에서 투신과 외국인 매수세로 지지를 받았습니다.
[DB하이텍]
- 4Q21 영업이익 1,382억원(+16.1% QoQ)
- 컨센서스 영업이익 1,201억원 대폭 상회
- 성과급(기본급 500%)까지 감안한 실적
- 22년 매출액 1조 5,686억원(+29.1%, YoY) 영업이익 6,679억원(+67.3%, YoY) 전망

삼성에 1위 내준 인텔, 파운드리 공격 투자..이스라엘 업체 7조 인수 추진
https://v.daum.net/v/20220215114718303
- 인텔의 Tower Semiconductor (타워 세미콘덕터) 인수가 임박했다는 외신 보도가 있었습니다.
- 인수 금액은 60억 달러로 알려졌습니다.

미국장 개장전 거래에서 40% 상승중입니다.
Tower Semiconductor는
- 아날로그 반도체 주력 파운드리
- 이스라엘, 이탈리아, 미국, 일본에 공장 보유
- 45nm~350nm 공정 (6, 8, 12인치 웨이퍼) 대응
- 파운드리 점유율 1.4% (3Q21; TrendForce)
- 미국 (TSEM)과 이스라엘 상장
--> 파운드리 매출 순위 : 타워 9위, DB하이텍(시총 2.9조원) 10위
타워 가치 부각은 DB하이텍의 가치도 재평가 받아야 되는 부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