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자료

이가람 VIP 09.30

이가람의 VIP 시크릿노트 2021. 9. 30. 20:59

<한국 8월 산업활동동향 - 델타변이발 피해 지속>

[생산]
- 제조업 생산 MoM 0.4% 감소, YoY 10.1% 증가. 전기장비 등 감소 vs. 반도체, 자동차 증가
- 제조업 출하 MoM 2.5% 감소, YoY 6.3% 증가. 내수와 수출 출하 각각 2.0%, 3.1% 감소
- 제조업 재고 MoM 4.9% 증가, YoY 0.8% 감소. 재고/출하비율은 8%p 오른 112.3%
- 제조업 가동률 74.1%로 전월대비 0.2%p 상승. 반도체, 자동차 상승 vs. 의료, 전기장비 하락
- 서비스업 생산 MoM 0.6% 감소, YoY 4.4% 증가. 금융보험 증가 vs. 숙박음식, 도소매 감소
 
[소비, 투자]
- 소매판매 MoM 0.8% 감소, YoY 3.8% 증가. 내구재, 비내구재 감소 vs. 준내구재 증가
소매업태별 대형마트, 슈퍼마켓, 편의점, 승용차/연료소매 감소 vs. 백화점, 면세점, 무점포 증가
- 도소매업 재고율 MoM 4.1%p 오른 104.6% 기록. 소매업 감소 vs. 도매업, 자동차 재고 증가
- 설비투자 MoM 5.1% 감소, YoY 11.8% 증가.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 운송장비 공히 감소
- 기계수주 MoM 16.3% 감소, YoY 13.1% 증가. 공공 YoY 132.4%, 민간 YoY 18.1% 증가
- 건설기성 MoM 1.6% 증가, YoY 0.3% 감소. 토목 기저효과로 반등, 건축 1.1% 2개월째 증가
- 건설수주 MoM 1.2% 감소, YoY 15.3% 증가. 토목과 건축 각각 YoY 36.2%, 12.8% 증가
 
[경기지수]
-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101.3으로 보합.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102.4로 2개월 연속 하락
 
<시사점>
- 생산, 공급망 차질로 재고/출하비율 작년 초 수준까지 상승. 공급 차질에 따른 제조업 하방 위험 증대
- 중국 전력난 등 여파에 공급망 차질 연장 우려. 다만 아세안 생산 정상화 나타나 공급 병목 완화 무게
- 소비,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로 숙박음식업, 도소매업 등 대면 서비스업, 재화 판매 전반 부진
- 9월 들어 높아진 백신 접종률에 경제활동량 회복. 10월 말 위드(with) 코로나 대기해 내수 회복 가능

--> 시내면세점은 이미 매출이 올라와있음. 

이젠 인천공항 내 면세점에 대한 기대감 -> 인천공항 내국인 매출비중 70% + 임차료 부담 완화. 
지금 롯데면세와 신라면세점이 다 철수를 했지만, 해외여행이 정상화 된다면 언제든지 재입찰을 통해 들어갈 수 있음

 

공항면세점이 없이도 시내면세점을 통해 매출을 올리고 있는 중에 있어 과거와 달리 임차료 협상에 유리함.

 

과거 매출 규모 8,000억원에 3,500억원 정도 임차료를 지불했다면, 이 금액이 1,000억원 내외 임차료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 

 

더불어 중국 인바인드의 회복 기대. 

현재는 기업형 따이공 위주인데, 고객구성이 개별여행객 중심으로 바뀌게 되면 영업이익률의 상승도 나타날 수 있음. 

현재 기업형 따이공에 대한 영업이익률 : 3~5% 수준 // 개별여행으로 바뀌면 영업이익률 10%까지 상승. 

 

호텔신라의 경우 시내면세점 영업이익이 동일한 매출 규모하에 1,000억원 이상 증가할 수 있다.  

 

--> 시간을 두고 [호텔신라]는 위드코로나 종목으로 관심있게 봐야겠습니다. 


[메리츠증권 중국 최설화] 

안녕하세요, 중국 전력난 해결을 위한 중국 정부의 노력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로 원전 가동 가속화 뉴스가 있어서 내용 공유드립니다. 업무에 도움되시기 바랍니다. 

 기사 내용 요약 
- 최근의 전력난에 대비해 중국은 현재 원전 100% 가동 중. 중국원전그룹 관계자는 현재 2대 유지보수 하는 것 제외하고 나머지 22대 모두 가동 중이라고 밝힘. 

- 한편 중국광핵그룹(CGN)의 원전도 풀 가동 중인 것으로 파악. 중국원전그룹과 중국광핵그룹은 중국 원전기업의 양대축이며, 총 48대 원전을 운영 관리 중

- 특히 최근 전력난이 심한 동북지역에서 원전 가동이 더 박차를 가하는 중. 

- 현재 중국의 원자력 발전 비중은 5%로 해외에 비해 낮음. 9월 28일 중국공정원(chinese academy of engineering) 부원장에 의하면, 중국은 앞으로 매년 6~8대 추가 가동을 통해 원전 비중이 2030년 8%에 달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 

기사 원문(중): https://bit.ly/2Y3XkcV


美 국무부 "전제조건없는 만남…남북협력 지지" : 네이버 뉴스 (naver.com)

"북한에 적대의도 없다" 입장 재확인
유엔 안보리, 30일 北 미사일 논의


[중국 속보] 
헝다부동산, 주장델타 20개 프로젝트 공사 재개, 전력을 다해 최종 교부(입주&명의이전) 보장 : 자체 웨이신 공식계정 통해 주장델타 지역의 광주, 불산 등 단지 20개 프로젝트 공사 재개했다고 언급 

•지방정부 명령이거나 회사차원의 어필 같기는 합니다만 악재도 아니지요. 헝다가 최소한 500-800개 프로젝트는 하고 있을것 같은데 아직은 갈길이 머네요. 일단 홍콩 주가 반응은 미지근합니다. 

 

>헝다그룹 : 자회사 헝다금융재부가 판매한 9월 만기 자산관리상품(WMP)에 대해 첫단계로 10% 환매 조치 완료. 만기 투자자 계좌에 입금 완료. 

•최근 로비에 항의방문한 투자상품 같은데, 관련기사에 시니컬한 댓글이 인상적입니다. ‘만기 전액 상환 상품을 10% 환매해주고 뭘 잘했다고 공지를 올리나?’ 그래도 시작이 중요하고, 현물 상환이나 자구책이 잘 되면 좋겠지만… 갈길이 아직 머네요. 

 

[미국속보] 

미 주간 실업보험청구 36만2천명…월가 예상 상회(상보)                                                                                 

[속보] 미국 2분기 GDP 최종치 +6.7%, 예비치+6.6%, 시장전망치 +6.6%

 

버진갤럭틱 (SPCE) $24.38 / +8.07%
- 미국 연방항공청(FAA)가 당사의 우주선의 항로 이탈 사건 조사를 마치고 그동안 금지했던 우주선 비행을 허가한다고 발표
- 동사는 성명을 내고 비행 안전 확보에 최선을 다하고 우주관광 사업 준비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혀


[신한금융투자 반도체 최도연, 남궁현]

DRAMeXchange 9월 서버 DRAM 고정가 발표 요약

▶️ 서버 DRAM 9월 고정가 MoM flat
- 3Q21 고정가, 늦은 8월에 일부 공급업체만 합의 도달 => 월별 고정가 flat
- CSP, 8주 이상의 서버 DRAM 재고 보유 (일부 10주 이상)

▶️ 중국 시장 큰 변화 두가지
- 정보보안법(The Data Security Law)
 1) 공기업 데이터 보관을 정부 클라우드 서비스에 강제
  * 신규 정부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 자극 가능성
- 전력 제한 규정(The power restriction policy)
 1) 9월 말에 시행된 해당 정책은 현재 제한 미미
 2) 해당 정책이 지속되며 PCB 조달 차질 가능성 있음

▶️ 향후 전망
- 4Q21 고정가 합의 지연 전망 
 1) 10월 말 또는 11월 초에 합의 도달 예상
 2) 2분기 연속 합의 도달 지연 => 수요 약세
- 공급자 vs. 구매자
 1) 공급자: 3Q21 고정가에 판매 희망, NAND 32GB 제품에서 64GB제품으로 전환 기대
 2) 구매자: 32GB 제품 조달에 집중
- 4Q21 서버 DRAM 가격 하락추세 전망


[DRAMeXchange 9월 서버 DRAM 고정가 발표]

- 32GB 서버 DRAM 9월 고정가는 160달러로 전월과 동일 

- 일부 공급업체는 구매자들과 합의에 도달하지 못해 8월 말 서버 DRAM 계약 가격 협상을 마무리했고 이에 32GB RDIMM 9월 가격 유지

- CSP는 서버 DRAM 재고를 대략 8주 수준으로 보유하며 일부 업체는 10주를 초과. 재고조정을 우선적인 전략으로 1차 조달 물량을 3분기 초 7월에서 9월로 연기. 특정 상황이 발생하면 4Q21 계약 가격 협상 기간이 한번 더 연장 할 수도 있음. 2개분기 연속 협상 연기는 서버 DRAM의 가격 인상 저항과 구매자 우위 시장으로의 전환으로 구매자들의 매수 강세가 지속적으로 약화됨을 보여주고 있음

- 공급업체들은 4Q21 서버 DRAM 가격이 3Q21 수준으로 유지되길 원하며, 인텔의 Ice Lake의 볼륨 증가와 함께 초기 32GB 수요가 64GB 수요로 1 대 1 전환될 것으로 기대. 그러나 공공 클라우드 부분에서 특정 비율로 전환하는 일부 중국 CSP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구매자들은 32GB 조달에 집중

- 최근 중국의 주요 두 가지 소식 관련 전망

(1) 9월 발표된 데이터 보안법은 국영 기업과 관련 부서에서 먼저 타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Tencent, Alibaba, Huawei 등)에 저장된 데이터를 정부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동하도록 촉구하여 정부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신규 서버 구축을 할 경우 수요 자극 예상. 하지만 아직 구체적인 계획 내용이 불투명해 4Q21 서버 DRAM 시장을 회복시키지 못할 수 있으며 DRAM 가격은 하락세 전망

(2) 9월 말 시작된 탄소배출 제한을 위한 전력 공급 규제는 PCB 생산을 중단시키고 ODM 생산일정에 차질. 정책이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향후 지속된다면 이미 구매자의 공급과 재고 수준이 높은 서버 DRAM의 수요가 ODM용 PCB 납품을 다시한번 연기 시킬 전망. 4Q21 계약가격은 기존 0~5% 하락에서 5~10%로 추가 하락 전망

- 공급업체의 출하량 증가와 계절적 약세로 지난 3개분기동안 지속된 가격 상승세는 중단 후 하락 전환 예상. 생산자들의 공급 축소 불확싱성을 감안 시 4분기 서버 DRAM 판가 하락폭은  0-5%를 넘을 수 있음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90490&ref=A 

버진갤럭틱 우주비행 재개 허가…시간외거래 주가 10% 급등

 

 

버진갤럭틱 우주비행 재개 허가…시간외거래 주가 10% 급등

영국의 억만장자 리처드 브랜슨이 설립한 우주 관광 기업 버진 갤럭틱이 미국 연방 당국의 허가를 받아 우...

news.kbs.co.kr

--> 한국항공우주, LIG넥스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쎄트렉아이, 비츠로테크 등 


[지분확대] 

만도 : 국민연금 추가취득으로 10.03% // 10% 지분취득 공시

NICE평가정보 :  WasatchAdvisors,Inc. 지분 4.86% -> 5.02% 로 확대 ( 5% 취득공시)

에코마케팅 : 김철웅 대표 24,473주 추가 취득 / 지분 47.41 % -> 47.49 % 로 확대

대창단조 : 박권일 대표 2,493주 추가 취득 지분 16.49% -> 16.50% 로 확대

동성케미컬 : 이만우 대표이사 3,000 주 신규취득 (5,780 원) - 1700만원 규모

LG디스플레이 : 윤수영 전무 1,000주 추가취득 / 이해원 상무 1,000주 신규취득 

 

[지분축소]

롯데관광개발 : 국민연금 지분 10.33%-> 9.93% 로 축소 

코리안리 : 원계영 11,000 주 매도 

제이알글로벌리츠 : 화인자산운용 5.90%-> 4.67% 로 축소

신성이엔지 : 오동훈 전무 33,000 주 (2,400 원에 매도) 


[기타공시] 
(유가)벽산 - 신규시설투자등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10930800784

목적 : 그라스울 수요증가 전망에 따른 증설

( 그라스울 : 건축산업용 및 가정용 보온, 단열, 보냉, 흡음 단열재)

 

신성이엔지 IR 뉴스 
https://shinsungeng.irpage.co.kr/#/main?irnews=45669&lang=en


[와이아이케이]
주요사항보고서(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체결결정) 
http://dart.fss.or.kr/report/viewer.do?rcpNo=20210930000209&dcmNo=8229224&eleId=0&offset=0&length=0
계약금액 : 2,000,000,000주
시작일 : 2021년 09월 30일
종료일 : 2022년 03월 29일
계약목적 : 주가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

계약기관 : 삼성증권(Samsung Securities Co., Ltd.,)
--> 유동물량대비 1% 수준. (수급에 영향 없음) 


[엑시콘]
주요사항보고서(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체결결정)
http://dart.fss.or.kr/report/viewer.do?rcpNo=20210930000225&dcmNo=8229310&eleId=0&offset=0&length=0
계약금액 : 1,000,000,000주
시작일 : 2021년 09월 30일
종료일 : 2022년 03월 29일
계약목적 : 주가안정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
--> 유동물량대비 1.2% 수준. (수급에 영향 없음) 

계약기관 : 삼성증권


[한미반도체]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자율공시) 
http://dart.fss.or.kr/report/viewer.do?rcpNo=20210930800345&dcmNo=8229338&eleId=0&offset=0&length=0&dtd=HTML
계약금액(원) : 2,559,384,000
매출액대비(%) : 0.99
계약상대 : RF360 [RF360 Technology(Wuxi)Co.,Ltd.]
시작일 : 2021-09-30
종료일 : 2022-02-10
--> mmWave 퀄컴 안테나 제조 장비 추정



[코리아써키트]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http://dart.fss.or.kr/report/viewer.do?rcpNo=20210930800644&dcmNo=8229976&eleId=0&offset=0&length=0&dtd=HTML
제목 : 장기공급계약체결

1. 월 수주량: 16,000 panels
2. 공급기간: 6년(2023~2028)
본계약으로 예상되는 당사 매출액은 연간 900억원(계약일 기준)으로 추정


(코스닥)현대바이오 -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COVID-19 치료제 CP-COV03의 1상 임상시험계획 신청서 제출)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10930900900

기대효과
니클로사마이드는 코로나바이러스(SAS-CoV-2)에 대해 높은 항바이러스 효능이 기대되지만 생체이용률이 낮음. CP-COV03은 니클로사마이드의 생체이용률을 개선하여 코로나19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함.

 

--> [특징주] 노터스, 씨앤팜 1회 투여 코로나19 12시간 100%억제…약물동태실험 참여 소식에 상승세 - 이투데이 (etoday.co.kr) 2020-12-08 기사내용. 

비임상연구기관(CRO) 노터스가 현대바이오사이언스 대주주인 씨앤팜의 니클로사마이드 기반 개량신약으로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경구치료제 ‘CP-COV03’의 약물동태실험을 실시했다는 소식에 상승세다.

--> 동물실험은 노터스가 진행했었습니다. 이것으로 사람에게 하는 임상시험을 진행한다는 내용입니다. 

 


(유가)포스코케미칼 - [기재정정]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취득결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10930800620

상기 계약의 JV1단계 감정평가 종료 후, 최초 취득일자가 연기되어 추후 확정시 빠른시일내로 재정정공시 할 예정입니다. 상대방 : 절강화포신에너지재료유한공사(Zhejiang HUAYOU-POSCO New Energy Co.,Ltd)

 

포스코케미칼, 中에 배터리 소재 생산공장 만든다…2810억 투자 (dailian.co.kr)

--> 이 내용이 밀렸다는 공시입니다. 

 


[ 연기금 순매수 ] 
코스피 :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현대중공업, LIG넥스원, 대신증권, SGC에너지, 솔루스첨단소재

 

코스닥 : 에스엠, 스튜디오드래곤, 와이지엔터, JYP Ent, 천보, 인선이엔티, 쎄트렉아이, 대한광통신, 에스앤에스텍, 이녹스, 테스, 동성화인텍, 하이록코리아, 심텍

 

[사모펀드 순매수] 
코스피 : 엔씨소프트, SK, 현대중공업, 팬오션, 후성, 해성디에스, SBS, 씨에스윈드, 

 

코스닥 : 천보, 동화기업, 에스엠, JYP Ent, 에스앤에스텍, 인선이엔티, 대한광통신, ISC, 이글루시큐리티, 아비코전자, 

 

[수급분류] 
게임 :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조선&기자재 : 현대중공업, 하이록코리아, 동성화인텍

2차전지 : 후성, 천보, 동화기업, 이녹스

DDR5 : ISC, 아비코전자, 심텍

엔터 : 하이브, 에스엠, JYP Ent, 와이지엔터, YG PLUS

컨텐츠 : 스튜디오드래곤, SBS

 

기타 : 인선이엔티 (폐기물&재활용), 팬오션 (BDI 지수 최고치), 씨에스윈드 (친환경 풍력), 대한광통신(광케이블), 쎄트렉아이( 우주/위성 ) 대신증권 (증권), SGC에너지(SMP 인상 지속 / 탄소배출권 ) , 에스앤에스텍 ( EUV ) , 테스 ( IT ), SK (SK머티 연동 / 합병 / 투자지주 ), 이글루시큐리티 (통합보안관리솔루션) 


[엔씨소프트] 

오늘 리니지W 2차 쇼케이스가 있었습니다. 

과금요소는 변신 +마법인형만 존재
변신/마법인형은 게임플레이를 통해서도 획득 가능

변신/마법인형을 제외한 어떠한 형태의 BM 또한 없을 것 (비즈니스 모델(BM) 대폭 축소)
액세서리는 보스전을 통해서만 획득할 수 있는 액세서리만 착용 가능 (이반/변반 등)

아인하사드/용옥 등 충전형 과금모델 없음(게임서비스종료시까지 안낼예정)
--> 게임 내 피로도 시스템인 ‘아인하사드의 축복’을 도입하지 않기로결정

 

문양/수호석 등 모든 종류의 BM 절대 없을 것 

출시하자마자 개인거래 + 거래소 바로 출시할 것 

11월 4일 글로벌 서비스 론칭

이러한 내용 발표이후 저가매수가 들어오며 강한 반등이 나왔는데, 

리니지는 국내에서 인기가 있었고 해외서는 늘 흥행에 어려움이 겪어 왔는데, 
이번 리니지W 를 글로벌 흥행에 성공할 수 있을지가 포인트가 될겁니다. 

 

우선 11월4일 론칭일정이 잡혔으니 그때를 봐야 될 종목이 됐는데, 우선은 리스크가 한번 발생됐었고 

외국인의 큰 수급 이탈이 진행됐던 만큼, 큰 반등보단  트레이딩의 관점으로 진행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크래프톤] - 9월28일 자료. 


[현대중공업] - 9월29일 자료코멘트


 

[SK, SK머티리얼즈] 
SKC 의 음극재 관련 이사회 부결소식에 따라 오히려 SK, SK머티리얼즈의 매수유입과 상승이 나왔습니다. 

SK그룹의 ‘지주사 제값 받기’ 전략…합치고 쪼개고 “4년 내 시총 140조”

https://news.mk.co.kr/v2/economy/view.php?year=2021&no=928038

시총 140조가 된다고 해서 주가가 올라갈지, 그냥 가격은 가만히 있고, 합병을 통한 시총상승만 나올지. 
현 분위기는 시총만 상승할 듯한 분위기 이기 합니다. 

 

사측에서는 4년내 시총을 7배로 늘리겠다는 계획 발표를 했지만 

정작 주가를 올리기 위한 주주환원책에 대한 발표는 딱히 없는 모습입니다. 

 

SK텔레콤이 인적 분할을 앞두고 있으면서 SK텔레콤의 주가는 상승하고 있는 모습인데, 

 

이후 분할지주사는 SK가 합병을 해야 될 것이고, 이런 과정에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다양론이 나와야 될것입니다.

 

이런것들이 SK의 포인트가 될 것으로 예상해봅니다. 

 

시장에서의 기대는 SK- SK텔레콤 - SK하이닉스의 구조로 있는 손자회사 SK하이닉스를 언제 자회사로 승격을 시킬것이냐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동성화인텍] 

9월27일 자료코멘트
https://lstockidea.tistory.com/11

[한국카본, 동성화인텍, 하이록코리아]

https://lstockidea.tistory.com/6 

9월15일 자료에서 포인트를 확인해보세요.

 

지난 9월7일 뉴스

한국카본, 478억 LNG수송선 자재 현대重에 공급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newsis.com)

 

K조선 글로벌 1위 수성…고부가·친환경 선박으로 재편 - 아주경제 (ajunews.com)

- 조선 기자재에서 보냉재 기업 = [한국카본, 동성화인텍] 이 대표적.

조선쪽은 지속적인 수주공시가 나오고 있는 상황, 시장의 주도섹터는 아닌 상황에서

연기금 주도하에 지속적인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습니다. 

 

조선 대형주의 수주 = 기자재 기업의 실적상승 기대감이 됩니다. 

 


[ISC, 아비코전자, 심텍] - 9월27일자료

IT의 몇몇 종목 매수가 조금씩 들어오는데, DDR5 는 일정도 있으니 사모펀드에서 먼저 입질이 들어오는 모습입니다. 


[대한광통신] 
9월29일 자료 코멘트에서 확인해보세요.

https://lstockidea.tistory.com/13

비번 : 0929


[솔루스첨단소재] 

3Q21 실적 매출액 1,124억원 (+22%QoQ, +52%YoY), 영업이익 123억원(+502%QoQ, +65%YoY)로 전 분기 대비 대폭 개선된 실적을 시현할 전망.

 

3Q21 갤럭시 폴드 및 아이폰 등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와 OLED TV향 납품 확대에 힘입어 a-ETL 소재를 비롯한 동사의 OLED 소재 출하가 확대될 전망

 

삼성디스플레이의 QD-OLED 는 휘도, 수명 향상을 위해 3 Tandem 구조를 적용하기 때문에 대당 소재 사용량이 스마트폰용 패널 대비 두께는 약 3 배, 면적은 약 100 배 수준으로 총 300 배 가량 증가하게 된다. 삼성디스플레이향 a-ETL 소재를 독점 공급 중인 동사는 이에 대한 수혜를 온전히 누릴 수 있는 유일한 업체.

 

EUV 이어 QD 핵심소재도 日 JSR '선점'…대안은?(종합) (ddaily.co.kr)

위의 이슈로 [동진쎄미켐]이 올랐는데, 

기사내 내용..

[솔루스첨단소재]그린 QD 잉크 개발을 완료했고 레드 제품도 연구 중이다. 동진쎄미켐ArF PR을 삼성전자에 제공했고 EUV용도 개발 속도를 높이고 있다.

 

최근 뉴스 

솔루스첨단소재 'mRNA 백신 원료' 사업 본격화 (edaily.co.kr)

삼성D, 차세대 패널 'QD디스플레이' 11월 양산 - 전자신문 (etnews.com)

이번엔 동박…끝없이 오르는 배터리 소재株 | 한경닷컴 (hankyung.com)


[후성, 동화기업] 
동화기업 : 삼성SDI 벤더 . 

후성 : 동화기업에 전해액 공급 / LIPF6 중국 가격은 기존 45만 위안 -> 46만으로 올랐습니다.

 

9월16일 코멘트내용. 
[동화기업]

사업 :

소재사업 부문 - 보드 (PB, MDF 등) 공급

화학사업 부문 - TEGO, 전해액 등 전자재료.

하우징사업 부문 - 건장재(마루) 등의 제품을 공급

 

2분기 원가 상승(LiPF6 가격 상승)으로 인해 전해 액 부문 영업이익률이 -6.8%로 크게 하락

(원가 상승분을 판가로 반영시키지 못해 왔기 때문) 

 

3분기부터는 전해액 업체 들이 원가 상승 부담을 판가에 반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판가반영 인식이 되면 3분기부터 영업이익률 10% 이상으로 상승이 됩니다. 

 

전해액의 매출은 증가할 전망, 하지만 코로나영향으로 베트남 법인의 실적 악화로 건자재 사업부는 부진 전망. 

 

연간 실적은 전해액 전방 수요 확대 및 수익성 개선, 글 로벌 건설 경기 호황 지속되며 2021년 매출 9,557억원 (YoY+28%), 영업이익 1,287억원(YoY +93%), 2022년 매출 1.1조원(YoY +16%), 영업이익 1,493억원(YoY +16%)으로 성 장세 지속될 전망.

 

전해액 생산기업인 동화일렉트로라이트 - 삼성SDI향 Gen5 배터리 관련 전해액 공급 + 첨가제 설계 협력.

국내 1위 배터리 업체향 전해액 신규 공급할 것으로 기대.



출처: https://lstockidea.tistory.com/7 [이가람의 투자아이디어]


[인선이엔티] 
인선이엔티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27.2%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5.8% 감소. 상반기 매립단가가 2020년 대비 7.1% 하락한 영향. 

 

2022년 1월, 수도권 매립지의 건폐 수수료가 48% 인상될 예정이고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2붂기 파쇄재활용 매출이 전년 대비 57% 증가하는 듯 상승세. 올해 실적은 상저하고 전망. 

 

영흥산업 인수로 소각사업 진출에 이어, 현재 소각로 증설 중이며 완공 시 일capacity는 96톤에서 192톤으로 2배 증가할것.

 

우호적인 원자재 시장 가격에 힘입어 상반기 인선모터스의 파쇄매출은 281억원으로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으며 최근 가격 추이 감안 시 500억원대 이상의 매출을 달성할 가능성

 

미래신사업 : 전기차 보급으로 10년 뒤 해체가 본격 늘어날 시기를 대비 .

전기차 전용 해체 플랜트를 자체 개발해 테스트 중. 


 

[ 받은글 ] 
[루트로닉] IR 담당자님 통화내용(2021.09.02.)

Q. 2, 4분기 실적 계절성이 있더라. 이번에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질지?
A. 기저효과라기 보다는 과거에 투자했던 효과가 나오고 있다. (질문을 잘못 이해하신 듯) 작년 3분기부터 실적이 좋았던 이유는 장비 라인업이 과거 저가 라인업에서 고가 라인업으로 바뀌면서 매출 증가뿐만 아니라 마진율도 개선되고 있는 흐름이다.

Q. 과거 2012년~2016년 흑자 이후 2017년~2019년까지 부침이 있었다. 영업적자가 발생한 이유는 무엇인지?
A. 투자했던 효과로 말씀드릴 수 있다. 적자가 났던 3개년에 강화한게 있다. R&D를 굉장히 강화했다. 16년까지는 시장에서 루트로닉 제품은 가성비 있는 제품이었다. 시장에서 3~4천만원 제품으로 가성비있는 제품으로 알려졌다. R&D를 강화한 후에 2019년 제품은 프리미엄 제품이다. 프리미엄 제품이 늘어나면서 매출이 늘고 마진율도 개선되도 있다. 당시 R&D를 굉장히 강화해 매출대비 18% 정도까지 R&D 투자를 많이 했다. 3년 동안 신제품은 없었지만 연구개발비 비용이 나갔다. 당시 해외유통망도 강화했다. 그에 따라 매출은 정체되고 적자가 크게 났다. 2019년부터 신제품이 나오기 시작했고, 영업조직을 갖추고 나서 효과가 현재 본격화되고 있다.

Q. 실적을 이끌어가는 대표 제품은 무엇이 있는지?
A. 클라리티2, 지니어스, 할리우드 스펙트라, 울트라 제품이라 보면 된다.

Q. 작년부터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실적이 개선되는 부분이 구조적인 것인지?
A. 구조적인 방향으로 볼 수 있다. 과거에 강화했던 효과가 나오고 있다. 과거의 투자기간이 끝난 것이다. 추가 비용 증가는 없는데 매출증가가 있기 때문에 현재는 초입단계로 볼 수 있다. 과거보다 매출비용 증가에 따른 비용증가 부분이 크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구조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Q. 동사 제품의 국내 매출 비중이 낮은 이유는 무엇인지?
A. 루트로닉의 주요 타겟시장은 국내가 아니다. 매출중 83%가 수출로 나온다. 미국, 유럽, 일본의 매출 비중이 높다. 2019년부터 출시한 고가 제품을 선진국에 팔기 위해 개발했다. 국내와 아시아 시장은 저가 시장이다. 하지만 유럽과 미국은 좋은 제품을 비싸게 팔 수 있는 시장이다. 미국과 유럽을 시장으로 타겟으로 제품을 타겟했고, 그곳에서 잘 하고 있는 회사이다.

Q. 동사 제품의 핵심 경쟁력은 무엇인지?
A. 다른 제품은 구형 자동차, 휘발유 경유차라고 볼 수 있다. 루트로닉 제품은 자율주행차라고 보면 된다. 의사선생님들이 이건 뭐 기계가 알아서 다해준다, 내가 할 게 없네 이런 표현을 많이 쓰신다.

Q. 신규사업 알젠 제품 개발 동향은?
A. 현재 투트랙으로 진행중이다. 국내에서는 눈에 물이 찬다고 하는데 그 병증에 대해 임상 3상이 끝났다. 올해 8월 말에 상용화 신청을 했다. 내년 2분기에 결과가 나오면 국내에서는 상용화가 가능하다. 해외에서는 미국 FDA 승인을 위해 호주에서 임상 2상쯤을 진행중이다. 내년 말에 임상이 종료될 예정이다.

Q. 알젠 제품이 동사의 매출을 얼마나 신장시킬지?
A. 현재는 R&D만 하고 있기 때문에 매출은 없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회사가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제품이라 볼 수 있다.


[ 장 마감 후 리포트] 
<신한생각>
『10월 국내 주식시장 전망 '동행'; 먹구름 속 두 줄기 빛』 주식전략 노동길

I. 공급망, 적시재고 신화의 종언
- 공급망 차질 중심에는 아시안과 중국이 자리. 병목 완화 핵심은 백신 보급에 따른 봉쇄 정책 변경
- 4분기 아세안 공급망 차질 정점 통과 조짐은 국내 주식시장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것. 미국도 물류 관련 서베이 개선세 관찰
- 글로벌 공급망 차질 상흔은 글로벌 Capex 수요를 증대. 금융위기 당시 침체와 다른 점은 짧은 침체 후 곧바로 Capex의 반등이 올해 나오고 있다는 것

II. 위드코로나를 기다리는 자세
- 10월 말 위드코로나 전환 가능성 검토 시사. 영국과 달리 한국은 위드코로나 전환에 따른 주식시장 영향이 뚜렷하지 않을 전망
- 영향력은 지수보다 업종으로 국한. 회적 거리두기 상흔 컸던 준내구재(의류, 신발 등)와 숙박 및 음식점업 위주로 개선세 기대
- 비즈니스 자체가 사회적 거리두기로 자칠을 겪은 면세점, 항공, 엔터에도 관심. 반면 소매 업태별로는 회복률 높음. 여행 산업은 플랫폼 위주로 발전되고 있는 점 고려
- 주가 회복률 관점에서는 해당 업종 가격 부담 크지 않고 거래대금 비율 상승도 뚜렷하지 않음

III. KOSPI 전망
- 호재보다 악재가 많은 국면. 글로벌 주식시장에 부담인 변수는 시중금리, 글로벌 공급망 차질, 중국과 유럽 에너지 공급난, 헝다 그룹 디폴트 리스크 등
- 현재 시중금리 상승이 상반기와 다른 점은 기대인플레 상승보다 실질금리 상승분 높다는 점. 경기를 반영하는 실질금리 상승은 과거 주가와 동행했으나 너무 빠른 속도가 일시적 마찰 요인으로 작용. 아직 기대인플레 움직임 크지 않아 이번 금리 상승에 따른 조정 기간 비교적 길지 않을 것으로 판단
- 인플레 통제 못하고 기대인플레이션 반영 시 위험자산 축소 필요. 연준은 아직까지 이를 인정하지 않는 국면
10월 KOSPI 2,950~3,250p로 제시. 중소형주보다 대형주가 연말까지 유리. 공급망 차질 완화 국면에서 반도체, 자동차로 대응. 위드코로나 관련 업종 관심

IV. KOSPI 실적 점검과 유망 업종
- KOSPI 2021년 순이익은 177조로 예상되며 EPS 컨센서스 증가율(YoY)은 90.6% 예상(NAVER 일회성 이익 제거)
2022년 EPS증가율은 11.1%로 예상되며 2021년보다 성장률이 하락할 가능성이 큼
- 올해 하반기까지 가치주(철강, 금융, 운송, 에너지, 화학)로 대응하고 DPS가 상향조정되는 종목에 집중할 필요

V. 포트폴리오 아이디어
- Reverse: 낙폭과대 대형주의 밸류에이션 매력 부각과 가치주로의 수급 이동에 주목
- Re-open: 코로나19 치명률 하락으로 위드 코로나 정책 전개, 리오프닝 광련 업종 수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invest.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293967


*중국 철강가격 업데이트*
블룸버그 업데이트 지연으로 중국 상해상품거래소 선물 가격으로 대체
= 열연 +0.4%, 철근 +1.2%

1, 티센크루프도 탄소서차지 부과 합류? 
= 티센크루프, 현재 최소 20%의 탄소배출권을 구매해야 하며, 고객사에 톤당 19.29유로 수준의 비용을 '탄소 서차지'로 부과 예상
= 타타스틸은 4월부터 12유로의 탄소 서차지 부과했으며 7월말부터는 16유로까지 인상

2, 유럽 전기아크로 제강사들, 전기요금 급등에 고심
= 경기 회복세, 가스, 석유, 석탄 가격 상승 등으로 유럽 전기요금 상승에 전기로 제철소들 제강 원가 급등
= 한편, 고로 제철소는 올해 수주 예약이 끝난 상황으로, 전기요금 인상보다 미국 관세 폐지에 더 큰 관심

3, 태국, 4개국 STS 강관 AD 일몰재심 개시
= 태국 상무부, 중국, 한국, 베트남, 대만산 스테인리스 강관(배관, 구조관) 및 튜브에 대한 반덤핑 일몰재심 개시
= 한국산의 관세율의 경우 세아제강 11.96%, 나머지 기업 51.53% 부과

4, 중국 허강선강, 동계올림픽 기간 고로 2대 생산 중단
= 허강선강, 올해 누적 선재 생산량 31.6만톤, 연 평균 강재 생산량 35~40만톤이며, 현재 두 고로의 생산 중단으로 월 평균 8만톤 선재 감산 예상
= 추후 1대 추가 생산 중단 계획. 이외에도 올림픽경기장 주변 1,000km 범위 내 기업들 모두 제한 중

5, 생산 규제 기간 연장에 중국 철광석 수요 감소 지속 예상
= 지방 정부 생산 규제 및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철광석 수요 약화 예상
= 동계기간이 다가오는 4분기에 일반적으로 오염물질 배출 규제 심화, 내년 2월 동계올림픽 개최 등으로 철광석 수요 당초 예상보다 약화 전망 

6, 중국 4분기 동정광 TC/RC 인상 
= 중국의 동제련 기업들의 구매부터 연합회인 CSPT가 4분기 동정광 제련수수료(TC/RC)를 톤당 70달러와 파운드당 7센트에 합의
= 3분기 최저가격은 톤당 55달러와 파운드당 5.5센트였는데 4분기는 동광산 생산 정상화와 신규 광산들의 생산량 확대로 공급 증가가 수수료 인상 원인


러 코로나 백신 스푸트니크V 3상 종료…효능·안정성 뛰어나 | 한경닷컴 (hankyung.com)

 

 

툴젠, 앱클론과 고형암 타깃 차세대 CAR-T 치료제 개발 협력

http://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7501

NH證 "이녹스첨단소재, 단기·중장기 실적 호조세"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10930_0001598125

"美 금리 상승세, 연말까지 지속 가능성 높다"

http://www.edaily.co.kr/news/newspath.asp?newsid=01374326629185368

美 CDC "임신·출산 여성들 백신 접종해야"…공식 권고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10930_0001598093

[파월 “공급망 개선 안 해 당혹”…‘한계 도달’ 물류 업계 ‘시스템 붕괴’ 경고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210930000060

"크래프톤, 본격 성장 구간 진입... 글로벌 톱티어로 성장 기대" -NH투자증권 http://www.newspim.com/news/view/20210930000099

두산, 그룹 수소역량 한곳에…'두산에이치투이노베이션' 신설

http://www.edaily.co.kr/news/newspath.asp?newsid=01482566629185368

'폴드3'로 제네시스 'GV60' 여닫고 시동건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93008240618600

[제네시스 첫 전용전기차 GV60]"기술과 예술의 완벽한 조화"…내달 6일 계약 시작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10929_0001597776

에스티큐브, FDA와 'hSTC810' Pre-IND 미팅 완료..."연내 IND 제출 계획" http://www.newspim.com/news/view/20210930000128

北 10월 남북통신연락선 복원 언급… 경협株 '강세'

http://www.edaily.co.kr/news/newspath.asp?newsid=01600646629185368

종근당, 코로나 치료제 '나파벨탄'…우크라이나 3상 승인

http://www.newspim.com/news/view/20210930000136

[3보] 코로나19 백신 1차접종 76.0%…18세 이상 88.3% 달성

http://www.newspim.com/news/view/20210930000181

"美테이퍼링에 국내 자산가격 조정 가능성 높아"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9507

리튬인산철 배터리, 중국 시장 장악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13985

이오플로우, 웨어러블 인슐린 펌프 '이오패치' 유럽 수출 시작

http://www.edaily.co.kr/news/newspath.asp?newsid=01826966629185368

[“지방 이미 포화, 서울도 위험”…‘재활용 쓰레기 대란’ 우려[촉!]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210930000212

덱스터 DI·라이브톤, '오징어 게임' 음향 작업 등 넷플릭스와 협력 강화 http://www.newspim.com/news/view/20210930000250

[속보]중국 9월 제조업 PMI 49.6…예상 큰폭 밑돌아

http://www.edaily.co.kr/news/newspath.asp?newsid=01872886629185368

'누리호' 안전하게 쏘기 위한 최종훈련 실시…"미승인 드론·폭발 상황 대비" https://www.khan.co.kr/science/aerospace/article/202109301000001/?utm_campaign=rss_btn_click&utm_source=khan_rss&utm_medium=rss&utm_content=total_news

[삼성엔지니어링, 차별화된 성장근거…목표주가 10%↑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210930000229

[中 헝다, 29일 560억 채권이자 못 내…디폴트 위기 심화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210930000277

[특징주] 나라엠엔디, 루시드모터스 핵심 배터리 공급 LG화학에 배터리팩 공급 부각↑ https://www.fnnews.com/news/202109301023323249

["데브시스터즈, 미국 이어 일본·중국서도 성장세 이어간다"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210930000290

인스코비-아피메즈 "1200억 밸류로 시리즈A 투자 유치…美 FDA 3상 '초읽기'" http://www.newspim.com/news/view/20210930000360

레고켐-에이비엘, 기술수출 ADC 치료제 전임상 데이터 발표

http://www.edaily.co.kr/news/newspath.asp?newsid=02086086629185368

[단독] 노르웨이 국부펀드, 한화 '블랙리스트'서 뺀다…김동관 ESG경영 결실

http://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25799

삼천리, 신사업총괄 대표에 'M&A전문가' 김재식 부사장 영입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93010243839555

[올댓차이나] 위안화 기준치 1달러=6.4854위안...0.3% 절하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10930_0001598622

[다나와 매각 예비입찰 10여곳 참여 ‘흥행’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210930000461

구로다 日銀총재 "차기 기시다 정권서도 대규모 금융완화 지속"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10930_0001598514

전기차 이차전지 화재 70%가 파우치형 배터리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10930_0001598589

4분기 수출 호조세 지속 전망···원재료값 상승에 석유·화학은 ‘흐림’

https://www.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icle/202109301129011/?utm_campaign=rss_btn_click&utm_source=khan_rss&utm_medium=rss&utm_content=total_news

거래소, 새내기株 상장 첫날 변동성완화장치(VI) 미적용 시행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10930_0001598651

우리들휴브레인, 인포마크 인수해 실버 AI 헬스케어 시장 '공략'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93011380211166

은행 가계 대출금리 3%대 뚫고 고공행진…2년1개월 만에 최고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9586

[제2 헝다 점검-①] 화양년, 당장 다음 주 2억弗부터 '중대 고비'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9594

[제2 헝다 점검-②] '3년째 정크' 중량, 내년 11억달러 상환 대기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9595

中 9월 차이신 제조업 PMI 50.0…예상 상회(상보)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9602

"中 일대일로 참여국 숨겨진 부채 456조원"

https://cm.asiae.co.kr/article/2021092910304733582

씨티 "한은 10월 회의서 인상 신호…서영경·박기영 매파 의견 낼 듯"-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9604

부광약품, 코로나19 치료제 효능 미입증…"개발 중단"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10930_0001598840

[GAM] 월가 큰손들 美 증시 '등 돌렸다' IT 대형주 25% 베어마켓

http://www.newspim.com/news/view/20210930000658

[올댓차이나] 9월 중국 차이신 제조업 PMI 50.0로 상승..."전반적으로 둔화 지속"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10930_0001598859

韓공장도 세운 전력난에…中 "전기료 올리고, 공급은 더 통제"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93012523431101

화학연 개발 신약 상용화 첫 사례...'에이즈 치료제' 중국 시판 허가

https://www.etnews.com/20210930000094

정부, 국산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지원에 내년 5265억원 투입

https://www.fnnews.com/news/202109301346050028

'한국의 에이즈 치료제 중국서 첫 시판한다'…화학연-카이노스메드 합작품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10930_0001598578

추석 영향? 집값 변곡점?..서울 집값 2주 연속 상승폭 축소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93012004421957

나이벡, 흡입형 코로나 치료제 효능 확인…“델타변이 2배 이상 효능”

http://www.edaily.co.kr/news/newspath.asp?newsid=02627286629185368

[2보] 질병청 "내달 11일 이후 mRNA백신 2차접종 예약자 접종간격 6주→4·5주" http://www.newspim.com/news/view/20210930000715

스튜디오산타클로스, 넷플릭스 시리즈 '마이 네임' 예고편 공개

http://www.newspim.com/news/view/20210930000738

건정연 "4분기 아파트값 상승폭 축소전망, 시장 안정은 내년" https://www.khan.co.kr/economy/real_estate/article/202109301432001/?utm_campaign=rss_btn_click&utm_source=khan_rss&utm_medium=rss&utm_content=total_news

대원미디어, '아머드 사우루스' SBS 11월 첫 방송 확정..콘텐츠 파트너십 강화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93014507059944

미접종자, 10월 18일부터 사전예약 없이 당일 접종 가능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6318950&code=61121111&sid1=soc

'전력난 심각' 中, 러시아에 도움 요청…"전력 늘려달라"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10930_0001598980

코오롱인더, 백조된 '필름 사업'…폴더블폰 소재 'CPI' 각광

http://www.newspim.com/news/view/20210930000683

배터리 분할 SK이노 '포드 축포'···수주잔고 1위 턱 밑 '추격'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93012484796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