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자료

이가람 VIP 22.02.25 오전자료

이가람의 VIP 시크릿노트 2022. 2. 25. 08:24

Daily 신한 생각 2월 25일.pdf
8.53MB
daily_0225 하나금융.pdf
1.77MB

 

2022년 2월 25일 (금) KB 데일리.pdf
1.65MB
20220225_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2월 25일).pdf
1.87MB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7.033 (+0.843, +0.88%)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1.5657% (-3.6bp)

- 10년물: 1.9581% (-3.3bp)

- 스프레드(10Y-2Y): +39.24bp (+0.28bp)

 

 상품시장 ($)

- WTI: 92.81 (+0.71, +0.77%)

- 금: 1,926.30 (+15.9, +0.83%)

- 옥수수: 690.25 (+9, +1.32%)
- 대두: 1,654.00 (-17, -1.02%)
- BDI: 2,244.00 (+96, +4.47%)

 

나스닥 기준 저점대비 7% 상승마감. 

 

미 증시 반등의 이유. 
1. 경제지표의 호전. 

。시카고 연준 국가활동지수 1월 0.69, 12월 0.07

。실업수당 청구건수 23.2만건, 예상 23.5만건,

。연속 실업수당 청구건수 147.6만건, 예상 158만건
。원유재고 4.515만 배럴, 예상 0.422만 배럴
。캔사스시티 연준 제조업 지수 2월 31, 1월 20

 

미 선물이 경제지표 발표 이후 22시30분부터 더 빠지지 않고 바닥을 잡으며 반등을 시도 했고. 

우리시각 오전 3시 30분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연설

 

2.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연설

"I have no plans to talk with Putin"
나는 푸틴과 대화할 계획이 전혀 없다.

 

-러시아의 달러·유로·파운드·엔화 거래 제한

-반도체, 컴퓨터, 통신장비 등 핵심 기술 품목 및 방위, 항공, 해양 분야 수출 통제

-러시아 군대의 자금조달과 증강을 위한 능력 차단 

-VTB 등 총 1조 달러(약 1204조원) 자산 보유 러시아 은행들 제재

-러시아 엘리트들과 가족들에 대해 추가 제재

-국제금융결제망 SWIFT 제재는 가하지 않을 것

-NATO 헌장 5조 약속 지킬 것 / 미군 독일에 추가 파병(7000명)

-다만, 우크라이나에서 미군이 싸우지는 않을 것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계획 없음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개인에 대한 직접 제재 검토

-러시아 제재로 인한 에너지 공급 대응을 위해 전략비축유 방출 예정

 

==> 우려했던 러시아 VS 나토, 미국의 전면전, 군사작적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 우려했던 에너지제재도 없었습니다. 시장이 안도를 한 것이죠. 

 

더불어 푸틴이 러시아의 레드라인 문제에 동의하면 젤레스키와 대화할 것이라고 발표. 푸인의 대화 요구라는 점이 긍정적으로 해석.

 

러시아의 침공이 단기에 끝난다면 높게 올라간 상품가격이 안정화,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되며 기술주의 반등이 가능. 

 

만약 우크라이나가 저항을 하며 장기화로 가게 된다면 상품가격 상승세 유지로 인플레와 공급망 불안 장기화 간다면 그 관련된 종목들이 단기적으로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미국이 큰 반등은 나왔으나 아직 해결된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우선 오늘밤 1월 내구재 수주, PCE 물가지수 발표가 예정되어있습니다. 

다음주는 우리나라 2월 수출입발표와 중국 PMI, 미국 ISM제조업지수, 파월 연준의장의 증언, 미국 고용보고서 등. 

이제는 시장의 근본적인 원인에 주목해야 될 때 입니다. 

 

G2의 경기회복이 우선입니다. 

 

더불어 3월 FOMC 에서 25bp 인상 가능성(87%)이 월등히 높아졌습니다. 

 

 

빅테크의 반등 

빅테크: META +4.61%, 아마존 +4.51%, 애플 +1.67%, 알파벳 +4.00%

 

EV: 테슬라 +4.81%, Lucid +5.47%, Rivian +10.74%, TuSimple +9.90%, Canoo +10.92%, NIO +3.71%

 

PC, 서버: HPE -2.23%, HP -0.03%, DELL -1.66%

 

데이터센터: 인텔 +4.64%, AMD +6.24%, 엔비디아 +6.08%, 마벨 +4.58%

메모리, 스토리지: 마이크론 +1.74%, WDC -0.29%, 실리콘 모션 -0.57%, Seagate -1.59%, 

 

장비: ASML(ADR) +3.97%, AMAT +4.35%, 램리서치 +3.78%

 

TSMC -3.5% 하락. 대만 정부가 반도체를 포함한 러시아 수출 제재를 지지한다는 뉴스가 보도되며 대만 반도체 업종 투자심리 위축.


친환경에너지 부각 
엔페이지 +16%, 솔라엣지 +14% 등 태양광 강세 / 네스트라에너지 +4.3% 풍력 관련주 강세. 

 

미-러 사이버 전쟁 가능성 
팔로알토 13.05%, 포티넷 11.23%, 사이버아크 11.68% 사이버 보안 회사들 주가 급등

 

부킹홀딩스(-7.08%)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분기 조정 수익을 달성했으나, CEO가 팬데믹으로 인한 여행 수요 둔화기간이 있을 것이라는 발언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70.73 (-1.1, -1.53%)
- MSCI 이머징지수 ETF: $46.515 (-0.95, -2.01%)
- 필라델피아 반도체: 3,399.16 (+121.36, +3.70%)
- Eurex kospi 200: 2.00p (+2.05p, +0.58%)
- NDF 환율(1개월물): 1,207.05원 / 전일 대비 4원 상승 출발 예상

 

코스피는 +0.7% 내외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 

 

미증시가 경제지표 호조 + 바이든의 러시아 제재안 발표 이후 반등마감 한 점은 우리증시에 긍정적. 

우려됐던 러시아 vs 서방국가 전면전 계획은 없다는 점과 에너지제재는 없었다는 점에 안도. 

이제부터는 경기둔화 우려, 성장성에 대한 부분들, 인플레이션과 금리 등등 

전쟁이슈에 가려졌던 부분들이 다시 부각이 될 시기가 되고 있는 만큼 러시아보다 G2의 경기회복여부에 초점을 두어야 할 때 입니다. 

미증시에서 기술주 반등이 좋았고, 특히 필라델피아반도체의 +3.7% 상승세가 나와 오늘 우리증시도 대형 기술주, 낙폭이 컸던 종목군 중심으로 반발 매수세가 유일될 것으로 전망. 


[유진투자 의견]

우크라이나 침략, EU 그린산업 전환 가속화

-EU의 러시아 의존도 천연가스 41%, 석유 27%, 석탄 47%

-다음주에 EU의 에너지대책 발표예정

-화석연료 소비 감축, 저장 확대, 재생에너지 허가 가속화, 에너지 가격 인상에 대한 보조금지급 등이 논의되고 있어

-이번 러시아의 침공 효과는 단순히 유가, 천연가스 가격의 단기상승 정도에 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

-유럽 전역이 러시아에 대한 화석 에너지 의존을 영구히 낮추는 것으로 정책 전환 예상

-유럽이 강한 풍력 관련주 주가 급등세

-내연기관차의 종말 시점도 앞당겨지며 전기차 확산 속도 더 빨라질 것

https://www.google.co.kr/amp/s/www.technologyreview.com/2022/02/23/1046429/how-the-ukraine-invasion-could-accelerate-europes-clean-energy-shift/amp/


뉴욕증시, 미 바이든 제재 발표 후 급락장서 상승 반전...나스닥 3.34%↑ : 네이버 뉴스 (naver.com)

 

美 4분기 GDP 잠정치 연율 7.0%↑…예상치 부합(상보) - 연합인포맥스 (einfomax.co.kr)

 

美 실업수당 청구 23만2천 건…다시 감소세 전환 (naver.com)

 

리치먼드 연은 "러시아 침공이 정책정상화 근거 바꾸는지 살펴야"(상보) - 연합인포맥스 (einfomax.co.kr)

 

[우크라 침공] EU, 대러 추가제재 합의…금융·에너지부문·수출통제(종합2보) (naver.com)

 

[우크라 침공] 美, 대러 수출통제·은행제재…"침략자 푸틴, 왕따 될 것"(종합) (naver.com)

 

'日 주도' 애플 반도체 기판…삼성전기 이어 LG이노텍도 공급하나 (ddaily.co.kr)

 


전장용 MCU 가격 2Q22 10~15% 추가 인상 가능성
- link: https://bit.ly/3sicGH2

- 일각에서 제기하는 피크아웃 우려와는 달리 반도체 수요 저변이 확대되면서 8인치파운드리 장기호황 전망

- DB하이텍 목표가 123,000원, 중소형주 탑픽의견 유지


[키움 제약바이오 김재철/허혜민]

★제이시스메디칼: 탄탄한 실적에 날개를 달아줄 리오프닝

- 글로벌 리오프닝 기조에 따른 구조적 성장 예상
- Cynosure향 재계약에 따른 공급물량 확대
- 22.2Q HIFU 신제품 출시를 통한 국내, 일본 수요 증가 기대
- 22.1H RF 비침습 팁 FDA 승인 및 글로벌 출시 예상, 고마진 소모품 매출 확대 전망
- 6분기 연속 최대 매출 달성, 22년 실적은 1,065억원(+31.0% YoY), 영업이익 226억원(+43.8% YoY), OPM 30.5% 전망 

보고서 링크 → https://bit.ly/3sdP0n4


[신한금융투자 IT부품/전기전자 박형우, 최도연]

심텍
- FCCSP & SiP의 대장주로 도약
(시총: 1조 5,577억원)

▶️결론
- 또 한번의 믹스 개선
- 실적 리레이팅 가장 가파른 기판 대장

▶️ 실적 요약
- 21년 4분기, 서프라이즈
- 22년 1분기도 서프라이즈 예상

▶️22년 영업이익 2,970억원 전망
- 여전히 업사이드 여력 큰 전망치
- 배경:
① 보수적인 환율가정
② 비관적인 GPM 추정
③ 신공장 가동효과 미반영 (22년 하반기)

▶️목표주가 70,000원으로 상향
- 투자포인트
① 22F PER 6.989배
② FCCSP와 SiP의 업그레이드
③ FCCSP 매출비중 가장높은 기업: 심텍

▶️ URL: http://bbs2.shinhaninvest.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00904


[신한금융투자 혁신성장 오강호, 심원용] 
티에스이: 2022 빛나는 성장 스토리

▶️ 4분기 매출액 873억원(+40% YoY) 기록
- 2021년 4분기 영업이익 119억원(+1,642%) 기록
- 4분기 영업이익률 13.7%(+12.6%p YoY, -1.2%p QoQ) 기록
- 4분기 소켓 매출 138억원(기존 평균 75~90억원 수준)으로 고성장 성공
- 4분기 프로브카드 214억원(+61%), OLED 55억원(+299%) 기록

▶️ 1) 2022년 소켓 성장, 2) 비메모리 매출↑ = 밸류에이션↑예상
- 고객사 수요 증가로 1분기도 소켓 판매 확대 추정
- 2022년 상반기 추가 고객사 확대도 기대 → 상반기 말 생산 능력 확대도 긍정적
- 2022년 소켓 매출액은 665억원(+73%) 전망
- 2) 비메모리 매출↑ = 밸류에이션↑예상
- 과거 국내 IT 업체들은 제품 Quality의 확장 → 고객사 확대 →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을 경험
- 고객사의 수요가 꾸준하며 고성장이 나올 수 있는 중요 제품군으로 프리미엄도 가능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96,000원
- 2022년 EPS 5,163원, Target P/E 18.2배(Peer 평균) 적용
- 고수익성 제품군(소켓) 및 프로브카드 매출 확대에 주목

티에스이 원문 보고서: http://bbs2.shinhaninvest.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00901


[유진투자증권 박종선] 
 
[동운아나텍(094170.KQ)/유진투자증권 코스닥벤처 박종선] 
 
★ 지난해에 이어 올해 실적 성장도 이어진다. Valuation 매력 보유 
 
☞ 컨콜 후기: 갤럭시S22 출시와 함께 올해 본격적인 실적 턴어라운드를 기대 
 
☞ 1Q22 Preview: 매출액 45.3%yoy, 영업흑자전환, 실적 턴어라운드 시작 
 
☞ 2022년 기준, PER 15.7배 수준으로 국내 유사업체 대비 소폭 할인되어 거래 중 
 
https://bit.ly/3BKzrG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