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자료

이가람 12.9

이가람의 VIP 시크릿노트 2021. 12. 9. 19:52

[시황] 

[국내]

내년 LG에너지솔루션 상장에 따른 영향

- 70조원만 가정해도 KOSPI 내 비중 3% 

- 일부 KOSPI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는 LG에너지솔루션을 담기 위해 다른 종목을 매도해야 됨.

- 1,000억원 펀드는 30억원(1만주) 매수 필요 -> 30억원 규모의 다른 종목 매도 필요.

- 이런 대형 IPO는 지수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 LG에너지솔루션 청약과 상장시기 자금이탈에 따른 지수약세는 어쩔 수 없을 듯.

 

[중국]

 

 

<11월 중국 물가: 생산자물가 상승세 둔화>

11월 중국 생산자물가 상승세는 다소 둔화되었고(YoY +12.6%, MoM +0.0%), 소비자물가 상승세는 강해졌습니다(YoY +2.3%, MoM +0.4%). 

1) 생산자물가 상승세 약화를 주도한 것은 광물과 원자재 가격 하락입니다. 석탄과 철강 가격이 전월대비 하락했으며, 이는 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덜어주는 요인입니다.

2) 소비자물가 상승을 주도한 것은 곡물 등 식료품 물가입니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는 전월대비 하락했습니다. 수요 측면 물가상승압력은 여전히 미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최근 정책당국은 지준율 인하 등 경기 하방 리스크 완화를 위한 선별적 지원에 나서고 있습니다. 생산자물가가 정점을 지나 둔화되는 흐름이라면, 당국 입장에서는 추가 대응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게 됩니다. 상황에 따라 지준율 추가 인하 등 수요 회복을 유도하는 정책이 내년 상반기에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리커창 총리 
 - 헝다그룹 사태는 시장원리에 따라 처리될 것
 - 부동산 개발사 하나의 문제가 전체 시스템을 흔들지는 않는다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카이사 그룹 홀딩스 (Kaisa Group Holdings),  피치로부터 CCC-등급으로 하향 조치 
3일전에 주식거래는 이미 정지된 바 있습니다.

--> 피치, 카이사그룹 신용등급 "제한적 디폴트"로 하향

제한적 디폴트는 완전 파산이 아닌, 채무에 대해 이자지급을 못하는 경우 기술적으로 선언되는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피치, 헝다그룹도 제한적 디폴트 선언 )

--> 문제는 이런 부동산 사태가 도미노가 되면 안됩니다. 

--> 최근 정책완화를 시키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을겁니다.

 

에버그란데(헝다) 사상 처음으로 달러채 디폴트 선언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1-12-09/evergrande-defaults-for-first-time-as-china-debt-strains-spread

 


 

명신산업, 테슬라 기가팩토리 대응 위해 다음달 텍사스 공장 가동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thelec.kr)

'모델 Y', '사이버 트럭' 등 테슬라향 부품 공급 확대 전망
실적도 고공행진...내년 매출 1조4000억원 안팎 기대

 

컴투스홀딩스, P2E 신작 '프로젝트 알케미스트' 계약

http://news.tf.co.kr/read/economy/1904787.htm

 

[네오위즈홀딩스] - 자회사 [네오플라이] 채용공고 현황 - 가산자산거래소


[주요공시] 
[지분확대] 

대화제약 : 44년생 명예회장 4,800주 (0.02%) 추가취득

동방 : 상무 2,400주 추가취득

디와이피엔에프 : 모건스탠리 지분 5% 취득 공시

- 국내 1위 분체이송시스템 전문 엔지니어 링 업체

- 공기압을 이용한 분체이송 시스템(PCS), 벨트/버켓을 이용한 이송시스템(MCS) 제조업체
- 주로 석유화학 업체들의 CAPEX 사이클에 연동해 실적 성장해왔는데, 최근에는 2차전지, IT 부문으로도 확장

- 고객사 : LG화학, 롯데케미칼,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등 주요 석유화학 업체

대림산업,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등 국내 외 플랜트 엔지니어링 업체 / 한국서부발전, 중부발전 등 발전소 사업자/

 

-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화되는 수주물량 확보로 내년 실적 고성장 전망

- 3분기 매출 187억원, 영업이익 25억원
- 3분기 기준 영업이익 증가율 157.81%

 

신영증권 : 대표이사 1,000주 추가취득

현대글로비스 : 사외이사 250주 신규취득

하나투어 : 상무 300주 추가취득

싸이토젠 : 어센트바이오펀드 174,863주(3%) 추가취득

--> 어센트바이오펀드(제일바이오펀드) :

CJ그룹 이재현 회장의 막냇동생이자 그룹 계열사 대표를 지냈던 이재환 회장이 출자한 펀드. 

제일바이오펀드 70억(전환가액 20,200원) 참여,

-> 이후 작년 10월 37,000원대부터 장내매수 시작. 최근 6만원대까지 꾸준히 매수하며 지분 20.11% 보유.

 

이외 5월17일 전환가액 65,599원(최저 한도 45,919원) / 300억 전환사채 발행.

 

[자사주매입]

* 모베이스(101330)
주요사항보고서(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체결결정)
유동시총대비(%) : 8.26
시작일 : 2021년 12월 09일 / 종료일 : 2022년 06월 09일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11209000214

--> 5% 이상이나 긍정적인 공시이나, 과거에 신청만하고 실제 체결은 거의 하지 않았던 전력이 있습니다. 

 

[기타공시] 
* 녹십자 : 풍문 또는 보도에 대한 해명

GC녹십자, 얀센백신 위탁생산 논의

- 본 공시는 2021년 8월 28일 동아일보에서 보도한 'GC녹십자 얀센 백신 위탁생산 논의' 에 대한 해명 공시입니다.
- 당사와 Johnson & Johnson사는 금일자로 백신 위탁생산에 대한 논의를 중단하였습니다.

--> 이미 기대감이 사라진 상태로 2018년 수준까지 주가는 내려와있음.

 

* 엠케이전자 : 12월10일 기관 컨퍼런스 콜 개최. 

- '21년 3분기 경영실적
- 경영현황에 대한 투자자의 이해 증진

 

*초록뱀미디어 : 후크엔터테인먼트 인수 (이승기, 윤여정, 이서진 소속사)


[시총대비 기관 순매수] 
게임빌, PI첨단소재, 에스티아이, 퓨쳐켐, 레고켐바이오,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하나투어, 가온미디어, 이수페타시스, 에스엘, 성신양회, 지씨셀, 올릭스, 서진시스템, 컴투스, 엘오티베큠, 위메이드, 엠플러스, 대보마그네틱,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G이노텍, 오스코텍, 피엔에이치테크, 메드팩토, HB솔루션, 웹젠, 인텔리안테크, 오비고, 알테오젠, NEW, 펄어비스, 맥스트, 보령제약, 감성코퍼레이션

 

*제약바이오 : 퓨쳐켐, 레고켐바이오, 지씨셀, 올릭스, 오스코텍, 메드팩토, 알테오젠, 보령제약

*게임 : 게임빌, 컴투스, 위메이드, 펄어비스, 웹젠

*반도체 : 에스티아이,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이수페타시스, 엘오티베큠

*OLED : 피엔에이치테크, HB솔루션,

*2차전지 : 엠플러스, 대보마그네틱, 

*우주/방산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인텔리안테크

*메타버스 : 맥스트, NEW

*VR기기 : LG이노텍, 가온미디어

*리오프닝 : 하나투어(여행), 감성코퍼레이션(의류)

 

PI첨단소재(OLED+PI필름 가격인상) , 에스엘(자동차부품), 서진시스템(5G), 오비고(자율주행), 성신양회(동양에서 지분취득)


[제약바이오] 

- 제약바이오 업종은 시장리스크가 아니라면 보통 -30% 하락이후 반등이 나타났었던 경험. 

- 1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앞둔 12월은 제약바이오의 강세가 많았고, 컨퍼런스 전에 오른뒤, 컨퍼런스 시작하면서 차익매물이 나왔던 것이 일반적입니다. 

- 그 뒤는 미팅 결과과 기술이전 결과가 2~3개월 뒤에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종목만 추후에 추가적인 상승이 나타났습니다. 

- 제약바이오 업종은 코스닥시총 상위의 구조적 변경을 거치며 밸류가 2014년 수준까지 내려와 부담도가 낮은 수준.

- 더불어 미증시에서 바이오테크 ETF 도 연일 강세 중.

 

12월11~14일 미국혈액학회(ASH) 개최
한미약품, 보령제약, 지씨셀, 에이비엘바이오 등이 참가. 


22년 1월10~13일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개최예정. 
현재까지 알려진 참가기업 :

대면 참석 : 네오이뮨텍, 올릭스, SK바이오팜, 파멥신

비대면참석 : 지씨셀, 녹십자, 나이벡, 레고켐바이오, 메드팩토, 에이비엘바이오
미정 : 엔케이맥스, SK바이오사이언스

(12월 중순은 넘어야 정확한 기업을 알 수 있음) 

 

JP모건 헬스케어의 대면참석하는 기업들 위주로 상승이 나온 뒤, 다른 종목으로 번지는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알테오젠] - 12월5일 코멘트

- 다음주 2021 대한민국 바이오 투자 컨퍼런스에 참석하는데, 메인컨퍼런스는 아니라는 점이 아쉽지만 최근 기관 NDR의 내용이 긍정적이었습니다. 

- NDR 내용공유

-연내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IND 신청 및 판권 계약 후 마일스톤 유입 기대

- 글로벌 제약사가 포함된 MTA 기술이전 협의중. 

- 2022년 키트루다 SC 임상 성공 시 기술 재평가 기대. 

 

-> 최근 제약바이오 반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알테오젠은 금융투자 + 투신 + 연기금 + 사모펀드 . 기관창투의 매수세로 반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어제는 사모펀드가 대량으로 사들어왔는데, 오늘도 나가지 않고 더 사들인 모습입니다. 

[오스코텍] - 12월7일 코멘트

- 레이저티닙 3분기 원외처방액 404억원(YoY -34%) 감소

- 레이저티닙 4분기는 의료기관 약사심사위원회 통과 기관 증가로 원외처방액 약 50억원(QoQ +233%) 전망

- 국내  판권은 [유한양행]이 보유하고 있어, 매출 로열티의 10~15%가 유입될 것으로 추정

- 내년 4분기 레이저티닙 미국 FDA 승인 되면 수 백억원 규모의 마일스톤 유입이 예상

- 내년 암 학회 에서 폐암 1차 치료제(MARIPOSA1) 병용 임상 중간 데이터 발표 기대

- FLT3 타겟 신약 물질 SKI-G-801 백혈병 1상 발표가 올해말~내년초로 예상되는데,

-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관련 내용과 타우 타겟 항체 치매 치료제 관련 파이프라인 소개할 것으로 전망


[메드팩토] - 12월7일 코멘트

- 공식발표는 없지만 루닛, 고바이오랩, 메드팩토, 파멥신, 에이비엘바이오 등이 현지에서 파트너링 업무 수행할 것으로 전망. 

- 올해 Keytruda와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 임상 2상 진입할 계획이었으나 임상 프로토콜 변경으로 지연되었음.

- 2022년 상반기 대장암 환자 대상 임상 3상 진입 예상, 췌장암 대상 임상 1상 결과발표 후 임상 2상 진입 기대. 

- 신규 물질에 대해 프로젝트 중이며, 22년초 발표할 것으로 예상. 

* [올릭스] -12월8일 코멘트

- RNA 간섭 기술을 기반으로 한 RNA 치료제 기업으로 2018년 기술성 특례 상장. 

-mRNA 를 이어 바이오트렌드로 RNAi 를 주목하고있고, 현재 올릭스의 파이프라인중 가장 앞서있는 비대흉터 치료제는 화상이나 수술 후 없어지지 않는 흉터를 없애는 치료제로 특별한 치료제가 없는 영역이기때문에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 siRAN 와 mRNA 기술을 모두 보유한 국내RNA 치료제 대표 기업.

- 내년 비대흉터치료제인 ‘OLX101A'의 임상 2상 결과를 기다리고 있고, 4건의 신약후보물질(파이프라인)의 추가 임상 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

 

* [바이젠셀]

- T세포 항암 치료제 개발기업

- (T세포란 세포성 면역을 담당하는 림프구의 일종으로 부족할 경우 면역체계가 무너져 암을 유발함)

- 3가지 플랫폼을 보유. 바이티어(ViTier) / 바이레인저(ViRanger) / 바이메디어(ViMedier)

VT-EBV-N(적응증: NK/T세포림프종) - 바이티어 플랫폼
  - NK/T 림프종은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표준치료법이 없고 재발시 상당수가 사망   

 - 현재 높은 확률로 임상2상 성공 가능성이 제기되는 중.

 - 2019년 희귀질환으로 지정, 2024년 조건부 판매허가 예정
 - NK/T세포 림프종은 주로 아시아권에서 발생하며 중국시장 1.6조원 추정(20년기준)
 - 추후 시장규모가 큰 대장암/유방암으로 표적질환 확장으로 적응증 치료제 개발 가능

- 국내 유사기업 :  유틸렉스 (시총 3,769억원)  VS  바이젠셀 (시총 3,560억원)

- 유틸렉스 : 임상2상 투약 못함 VS 바이젠셀 임상2상 마무리단계

- 글로벌 유사기업 : Atara Biotherapeutics (시총 1조8천억)

 

최근이슈 

바이젠셀, 中 1.6조 면역항암제 시장 공략…신약 연구 순항 - 머니투데이 (mt.co.kr)


[웹젠] 

- 신작부재로 실적감소가 이어졌는데, 9월 뮤 아크엔젤2의 매출반영으로 4분기는 소폭반등 할 전망. 
- 뮤 오리진3는 현재 사내 테스트(IBT) 중이며, 내년 1분기 중 출시될 예정. 

- 내년 2분기부터는 R2M의 글로벌 출시와 3종의 신작이 차례로 출시될 예정.  

- 아직 블록체인 기반 사업에 대한 가이드는 드러나진 않았으나 다른 게임사 PE2의 흐름을 따라가려는 모습.

- P2E 를 발표한 다른 국내 유사기업과 비교했을때 주가는 할인받고 있다는 삼성증권의 평도 나왔습니다.

최근이슈 
'신작 정비' 웹젠, 뮤 IP 후속작 준비...P2E 게임도 검토 - ZDNet korea

 

웹젠, 대표 직속 블록체인·NFT 조직 신설 - 전자신문 (etnews.com)

 


[가온미디어] 

- 인공지능(AI) 기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및 확장현실(XR) 솔루션 제공 업체

- 자회사 케이퓨처테크 : AR글래스 개발.

- 자회사 가온브로드밴드 : 국책과제로 와이파이 6E 무선공유기(AP) 개발 담당 수행 중. 

와이파이6E : 메타버스(Metaverse)를 구성하는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기술 등 대용량 데이터 실시간 전송에 필수적인 인프라

- 자회사 가온브로드밴드 IPO 추진중

- 3분기 매출액 1492억(+8.8%) 영업이익 73.7억(+98%) 


[에스티아이] - 12월6일 코멘트

-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용 장비 공급

- 2021년 연간 매출 : 2,800~2,900억원 전망

- 2022년 연간 매출 : 3,500억원 이상 전망. 

- 2021년 3분기 말 기준 장비 수주 잔액 1,927억 원으로 6개월 정도에 해당하는 기간의 실적 가시성은 확보.

- 2021년에 반도체용 리플로우 장비와 디스플레이용 포토 트랙 시스템 시장에 진출.

- 미국 법인 설립 준비중으로 기존에 신규 팹 증설 여부나 잉크젯 프린팅 장비의 공급 가능성 유무가 주가에 영향을 끼쳤는데, 이젠 신규 장비 다변화로 분기 매출의 안정화 기대. 

- 국내 및 미국 등 인프라 장비 납품 시기가 찾아오고 있고, 늘 기대감만 있는 잉크젯(OCR) 장비는 고객사와 테스트가 마무리 된것으로 알려져있음. 

- 향후 수주 성공시 연간 수천억원 매출이 가능한 분야.(삼성 미국 Fab 향 수주 기대 -> 성공시 22년 하반기 매출 인식가능성)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 12월8일 코멘트 -12월9일 종가 17,700원

- 공모가 17,400원 / 10월29일 24,000원에 상장 / 12월8일 종가 15,400원. 

- 공모가 밴드 (14,300~17,400 원)

- 반도체, FPD(Flat Pannel Display), 태양광, LED 공정 내 스크러버 및 트랩, 플라즈마 백연 제거 설비 등 친환경 장비 제조 사업

- 국내 유사업체(유니셈, GST, 에스티아이)보다 할인되어 거래중.

- 고객사 : SMIC, BOE, risen 등 해외 29 개, SK 하이닉스. 삼성전자, 한화솔루션 등 국내 14개 

- 최근 국내 소부장 기업 중 인텔 에 자체 브랜드로 최초 공급 시작.

- 2021 년 15 대 이상의 스크러버 수주 및 공급이 이루어질 예정이며, 2022 년 이후 100 여대 추가 공급 전망.

- 최근 바닥으로부터 24% 상승했지만, 아직 공모가보다 낮은 금액입니다. 

- 사모펀드가 2거래일 연속 매수하며 주가를 올려놨습니다. 

- 최근이슈: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독일 CS클린솔루션, ODM공급계약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newsis.com)

  시가총액 22년 영업익 추정치
유니셈 4,400억 645억
GST 3,300억 573억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1,100억 128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