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VIP 자료

이가람 VIP 22.03.06 주말자료노트

이가람의 VIP 시크릿노트 2022. 3. 6. 18:51

 

공지2022년3월KOSPI규모별지수구성종목.xlsx
0.04MB
(보도자료)+신한+FnGuide+폐기물처리+ETN+신규상장.hwp
0.46MB

 

(보도자료)+KRX+BBIG+K-뉴딜지수+등+구성종목+정기+변경.hwp
0.52MB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8.495 (+0.70, +0.72%)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1.4899% (-0.01bp)

- 10년물: 1.737% (-1.5bp)

 

 상품시장 ($)

- WTI: 115.03 (+7.36, +6.84%) - 테마 : 중앙에너비스, 흥구석유, 한국석유 / S-Oil, GS, SK이노베이션 등

- 천연가스: 4.91 (+0.19, +4.13%)

- 금: 1,974.30 (+38.40, +1.98%)

- 구리: 4.9175 (+0.1360, +2.84%)
- 옥수수: 752.30 (+5.30, +0.71%)
- 대두: 1,656.50 (-10.50, -0.63%)
- BDI: 2,148.00 (+44.00, +2.09%) - 팬오션, HMM, KSS해운, 대한해운 등 

- 알루미늄 3,902.00, +4.99% - 삼아알미늄, 피제이메탈, 조일알미늄, 알루코, DI동일 등

- 니켈 30,063.50, +11.77% - 티플랙스, TCC스틸, 황금에스티 등

- 구리 10,751.50, +3.87% - 이구산업, 풍산, 대창, 풍산홀딩스 등

- 아연 4,123.00, +5.17% - 고려아연, 한일화학 등 

- 석탄 : 테마 - 넥스트BT // 실적 : LX인터내셔날, GS글로벌 

- 유연탄 상승 :  SMP(전력도매단가) 상승 ->발전소 수혜 --> SGC에너지 --> 한국전력 

- 유연탄 상승 : 시멘트 악재 --> 원재료 상승에 따라 시멘트 가격인상을 해야 된다. 

테마 : 고려시멘트 , 삼표시멘트  // 대표 : 성신양회, 한일시멘트, 쌍용C&E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원자력 발전소 공격 이후 화재가 발생했다는 소식에 시장의 투자심리가 위축. 

 

채권시장에서는 단기 2년물과 장기 10년물간의 스프레이드가 꾸준히 좁혀지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감.

(25bp까지 좁아짐)

 

제롬파월 연준의장은 3월 FOMC에서 25bp 금리 인상을 지지한다고 밝혔는데, 시장은 50bp 가 아닌 25 bp라는 점에 안정은 보였으나, 긴축정책의 가능성은 부담감으로 작용. 

장단기 금리 역전(미 국채 10년물과 2년물의 금리 역전)이 일어나면 어떤 이유에서든지 경기 침체로 이어졌습니다.
(금리 역전 이후 대략 200~300일 전후)

 

고용보고서

 2월 비농업 부문 신규 취업자 수는 전월 대비 67만8천 명 증가했고 시장 전망치인 44만 명 증가를 상회, 실업률도 3.8%로 전월(4%) 보다 하락해 코로나 사태가 본격화하기 이전인 2020년 2월(3.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경제 핵심 지표는 올해 여름 펜데믹 이전 수준으로 복귀할 것으로 전망.

 

 

빅테크: META -1.43%, 아마존 -1.53%, 애플 -1.84%, 알파벳 -1.49%, 

 

EV: 테슬라 -0.12%, Lucid +0.00%, Rivian -6.91%, TuSimple -13.28%, Canoo -6.12%, NIO -6.29%

 

데이터센터: 인텔 +0.29%, AMD -3.19%, 엔비디아 -3.28%, 마벨 -2.75%

 

메모리, 스토리지: 마이크론 -8.15%,

 

항공 관련주

Delta Air Lines -5.58%, United Airlines -9.07%,  American Airlines Group -7.13%, Southwest Airlines -2.38%

 

호텔 관련주
Hilton Worldwide Holdings -3.06%, Marriott International -3.74%, Hyatt Hotels -2.16%, InterContinental Hotels Group -4.85%

 

여행 관련주
Carnival -5.69%, Norwegian Cruise Line -6.30%, The Walt Disney -3.33%, Six Flags Entertainment -1.27%,
Live Nation Entertainment -1.59%, Eventbrite +0.44%

 

카지노 관련주
Wynn Resorts -4.71%, MGM Resorts International -4.18%, Las Vegas Sands -3.71%, Caesars Entertainment -5.30%

 

오일 관련주
Exxon Mobil +3.76%, ConocoPhillips +2.94%, Occidental Petroleum +17.59%

MSCI 한국 지수 : 69.99 (-2.03, -2.82%)

MSCI 이머징 마켓 : 44.62 ( -0.92, -2.02%)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 3,258.9 (-80.8,-2.42%)
달러/원 환율 : 1,216.93 (+9.97,+0.83%)

Eurex 야간선물 356.65 (-4.50, -1.25%)

 

러시아- 우크라이나 장기화에 따른 인플레이션 장기화 우려.

장,단금리 격차 축소로 경기우려감이 생겨나고 있는 상황. 

달러강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부담. 

하락 출발 뒤, 외국인의 수급동향에 주목. 

 

금요일은 풋옵션에 대해 수익실현을 많이 하면서 선물과 현물을 매도 했는데,
하락이후 풋옵션의 수익실현과 선물매수세로 대응이 들어온다면 지수는 다시 반등의 가능성이 있고. 
선물,옵션 동기만기를 앞두고 있는 주간인 만큼 지수의 변동성은 계속 크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 

 

리스크 종목군에서 계속 실적 수혜가 나올 수 있는 종목으로의 대응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 

더불어 대선을 앞두고 대선관련주들의 마지막 변동성도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 

결국, 시장은 약한가운데, 종목별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 


2월23일 기준으로 나스닥 52주 신저가 종목수가 30년래 최고


 

 

[신영증권 박소연] 3월 첫째주 증시전망

우크라이나-러시아 3차 휴전협상이 7일(월) 열릴 예정입니다. 그러나 양측 의견차가 여전해 교전 장기화 가능성도 있습니다. 지난주 유가가 25% 상승한 이유겠죠.

인플레이션은 일반적으로 비용 리스크로 인식되지만, 단가 인상과 재고 비축을 앞당기고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CAPEX 확대로 연결되기도 합니다.

불확실성이 여전한데 과연 투자가 나오겠냐는 의견도 있지만, 현재의 인플레는 이윤(profit)보다는 안보(security)의 문제에 가깝습니다. 안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3월 이후 경제재개, 중앙은행 긴축 완화를 고려하면 매도실익은 없다는 view를 유지합니다. 원자력/LNG/태양광 등 에너지 믹스 관련 수혜주, 단가 인상과 재고비축 통해 이익 창출력 배가될 Value 포지셔닝을 권고드립니다. https://bit.ly/3tAYs3g

================

▲ 전주 동향 : KOSPI 4주만에 반등. 우크라이나 사태 조기 안정화 기대감에 개인 투자자 중심 저가 매수세 유입. 국고 3년물 금리 3bp 하락한 2.21%, 원/달러 환율 13원 상승한 1,214원 기록

▲ 업종/종목 : 한화에어로스페이스(+15.1%), 한국항공우주(+12.4%), LIG넥스원(+16.6%), 한화시스템(+10.7%) 등 방산주 강세 지속. 두산(+20.0%), 두산중공업(+14.8%) 채권단 조기졸업, 원전 기대로 상승. 원자재 시황 강세로 한국가스공사(+19.8%), LX인터내셔널(+9.7%) 등도 오름세

▲ 주말 해외동향 : 뉴욕증시 기술주 중심 약세 마감. 2월 고용지표가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지만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우려로 국채금리 하락세 두드러졌고 은행/항공주도 약세. WTI 유가 7% 급등했고 니켈(+11.8%), 아연(+5.2%), 알루미늄(+5.0%) 동반 강세

- 우크라이나-러시아 3차 평화회담 7일(월) 전후 개최 : 아직 양측 입장 강경해 합의 기대 낮아, 교전 장기화 전망 다수

▲ 종합판단 : 우크라이나 불확실성 여전하나 3월 이후 경제재개,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중앙은행 긴축 완화 가능성 등 고려하면 매도 실익 없는 구간. 원자력/태양광 등 에너지 믹스 수혜, 인플레 구간에서 이익 창출력 배가되는 Value 포지셔닝 강화


[글로벌 펀드자금 동향]  - 2월24일 ~ 3월2일

- 글로벌 주식펀드 유출 전환

선진국 :  -63억 유출.

 

신흥국 :  +30억 -> +13억 유입. 

- 에너지 수출국은 유가급등에 따라 성장세 확대 전망.

 

한국 : 지난주에 이어 유출.

-2.1억 -> -6.3억 

 

 

전세계 주식시장의 이익동향

전세계 12개월 선행 EPS

지난달 대비 -0.4% 하향 조정 (선진국: -0.1% > 신흥국: -1.7%) 

신흥유럽(-14.6%, 러시아 포함), 한국(-1.9%), 중국(-1.0%), 미국(-0.2%) 하향 조정 

 

전세계 업종별 이익동향
전세계 기업의 12MF 순이익 전망치 지난주 대비 +0.8% 상향 조정됨(컨센서스가 존재하는 2,052사 기준)
지난주 12MF 순이익 전망치 상향 조정 폭이 큰 업종 :  호텔/레저, 상사/자본재, 소프트웨어

 

한국 업종별 2022 년 영업이익 전망치 변화

지난주 대비 0.0% 상향 조정된 221.7조원 기록(컨센서스가 존재하는 219사 기준) 
지난주 2022년 영업이익 전망치 상향 조정 폭이 큰 업종 : 유틸리티, 에너지, 증권 
지난주 2022년 영업이익 전망치 하향 조정 폭이 큰 업종 : 철강/비철, 화학, 소매(유통) 


[전인대 서프라이즈: 성장률 목표 5.5% 내외]

안녕하세요, 삼성 리서치 전종규입니다. 전인대가 오늘 개막되었습니다. 한국시간 10시부터 전인대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리커창업무보고가 진행되고 있는데요,

이번 전인대는 핵심내용이 경제성장률 목표, 부양정책 강도, 시진핑 구조개혁 이 세 가지로 말씀드린바 있습니다.

경제성장률 목표가 5.5%로 제시되었습니다. 컨센서스 5%보다 높아 추가적인 부양정책 기대가 높아집니다. 

#全国两会2022##全国人大会议今天开幕#国务院总理李克强...https://cj.sina.cn/article/normal_detail?url=https://finance.sina.com.cn/china/2022-03-05/doc-imcwipih6719379.shtml

 

<22년 중국 전인대 업무보고 주요 내용>

1.경제지표 목표:
- GDP: 5.5% 내외(컨센 5.0~5.5%)
- CPI: 3.0%(컨센 3.0%)
- 신규 일자리수: 1,100만명이상 (컨센 1,100만명)
- 도시조사실업률: 5.5%(컨센 5.5%)
- 가처분소득 증가율: 경제성장률 비슷

2. 통화정책: 유연하고 적절한 수준 유지 
- M2 증가율은 명목 성장률과 비슷하게 유지
- 매크로 레버리지율 안정, 환율은 안정적 수준에서 유지 
- 시장의 조달금리 인하 유도

3. 재정정책: 효율성 강조, 감세 중심
- GDP 대비 재정 적자율: 2.8%(작년 3.2%)  
- 지방채 발행한도: 3.65조위안(작년과 동일)
- 중앙에서 지방으로의 대규모 자금 지원

4. 방역정책: 동태적 ‘제로 코로나’ 정책 유지

5. 기타 주요 추진 사업 
- 국내 생산을 늘려 국내 농산품, 원자재 공급
- 금융안정기금 설립을 통해 금융 리스크를 최소화할 것 


우크라 위기에 뉴욕증시 하락 마감 - 조선비즈 (chosun.com)

 

 

中 올해 성장률 목표치 5.5% 안팎…올가을 시진핑 3연임 위해 ‘안정’ 강조 (naver.com)

 

엔비디아 공격한 해커조직 “삼성전자 서버 해킹” 주장
http://naver.me/Gv9VE71G

보안 관련주 : 지니언스, 케이사인 등등

 

[속보] 송영길 "새 정부 출범 후 신한울 3, 4호 건설 문제 재논의" (naver.com)

 

“1점만 더 받으면 거래 정지”...불성실공시로 벼랑 끝에 몰린 상장사 (naver.com)

 

칼 뽑은 방준혁, 넷마블 A3 P2E 출격...광석 캐서 'MBX 코인' 번다 < 콘텐츠 < Enterprise < TECH G < 기사본문 - 테크M (techm.kr)

 

칼 뽑은 방준혁, 넷마블 A3 P2E 출격...광석 캐서 'MBX 코인' 번다 - 테크M

넷마블이 드디어 글로벌 플레이 투 언(P2E), 이른바 돈 버는 게임 시장에 등판했다. 조악한 이더리움 기반의 P2E 게임과 달리, 기존 흥행작에 P2E 콘텐츠를 적용한 만큼 시장의 기대감이 상당하다.

www.techm.kr

넷마블, 자체 가상자산 MBX 발행한다 - ZDNet korea

 

우크라 네온 공장 스톱…완성차 '반도체 수급' 초비상 : 네이버 뉴스 (naver.com)

 

“1점만 더 받으면 거래 정지”...불성실공시로 벼랑 끝에 몰린 상장사 (naver.com)

<뉴욕증시-주간전망> 전쟁 변동성 지속…물가 지표 주목 | 연합뉴스 (yna.co.kr)

[주간 증시 전망] 美물가 지표‧中양회 지켜봐야 할 한 주…대선 결과도 주목 - 조선비즈 (chosun.com)

 

[주간 추천주] 리오픈·경기민감주 관심…YG엔터·아이에스동서 '러브콜' (inews24.com)

 

 

 


KB Chemical Watch: 유가/정제마진 급등, 화학 스프레드 하락

▶️ [화학] 3월 첫째 주 화학제품 가격은 국제유가 강세에 연동하며 상승. 원재료인 Naphtha가격 톤당 1,112달러로 주간 기준 22.1% 상승했으나, 대부분의 화학제품 가격상승은 크지 않았음. 단기 급등한 원가부담으로 한국 화학기업의 2분기 실적은 부정적일 전망

▶️ [정유] 3월 첫째 주 복합정제마진 배럴당 20.3달러로서 전주대비 3.7달러 급등. 우크라이나 사태는 유럽 경유가격의 강세로 이어지고 있음. 러시아의 대 유럽 천연가스 공급 중단 우려감이 커지면서 대체 제품인 원유 및 디젤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 사태가 길어진다면 등/경유 가격은 크게 급등할 전망

▶️ [태양광] 폴리실리콘 현물가격 33.2달러/kg로서 전주대비 0.5% 상승. 독일은 재생에너지 설치를 가속화하고 있음. 독일 경제장관은 금년 7월까지 EEG법안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 80%, 2035년 100%) 통과를 언급. 이는 재생에너지 설치를 확대하여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도를 줄이려는 의도임

▶️ 합성수지 가격 상승 (LDPE +3.2%/PVC +0.8%/ABS +0.3%), 합섬원료 하락 (PX +14.4%, PTA +8.6%, MEG +8.5%), 고무체인 상승 (BD +1.9%, 천연고무 +1.1%)

▶️ 주간 수익률: : Winner 효성첨단소재 +9.9% (PET타이어코드 가격 상승으로 1분기 실적호전 기대), Loser 롯데케미칼 -7.6% (우크라이나 사태로 단기 원가상승 부담 우려)

▶️ 리포트도메인: https://bit.ly/3vKFbiq


DI동일 유통주식수 확대 목적으로 주식분할 결정
-1주당 가액 : 5000원→500원
-거래정지기간 : 4월 14일 ~ 18일
-신주권상장일 : 4월 19일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20304800942


[시가총액 대비 기관 순매수] 

한국카본, LX인터내셔널, 팬오션, 씨에스윈드, LIG넥스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이콘텐트리, 하이스틸, 삼성엔지니어링, 대우건설, 한국항공우주, 대한해운, 풍산, NEW, 덴티움, 유니드, 두산, 덕산하이메탈, 동성화인텍, 세진중공업, 원익피앤이, 와이지-원, 디오, 덴티스, GS건설, 하나기술, KSS해운, KT, 하이트진로, 현대건설, TYM, 대동, 휴스틸, 아이에스동서, 노바렉스

 


방산 : 한국항공우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 中, 2년 연속 국방비 증액…올해 국방예산 279조원

- 각국이 국방비 예산을 증액합니다. 

- 북한도 계속 미사일을 쏘고 있는데, 글로벌이 방위산업에 투자를 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을 조성 중입니다. 

 

*방산 : LIG넥스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 - 3월1일 코멘트

-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유럽에서 국방비 증액결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각국의 국방비 증액 현황

독일, 즉시 특별기금 마련해 국방예산을 'GDP 2%'로 증액(2%는 100조원)

폴란드 부총리 방위비 증액 승인

美 2022년 국방예산 922조원… ‘3대 핵전력’ 최우선 (역대 최고수준)

 

우리나라 

5년간 국방비 315조 투입, 방위력개선비 관련 국내 방산업체 예산 9% 이상 증액

2022~2026 국방중기계획'을 통해 향후 5년간 약 315조 원의 국방예산을 사용할 계획

2022년 국방예산은 총 55조2277억 원이 편성돼, 2021년 국방예산 대비 4.5% 증액

 

기아 K9 말고 '한화 K9'? K방산 잘 나가는 6가지 이유 [비즈360] : 네이버 뉴스 (naver.com)

 

[LIG넥스원] 

- UAE에서 천궁-2를 2.6조원 규모 수주

- 매출 인식은 2023년 하반기부터 시작되고 2024년부터 본격화 됩니다. 

[한국항공우주] 

- 말레이시아 FA-50 18대, 1.1조원과 UAE T-50 5.4조원을 협상 중.

- T-50 고등훈련기를 경공격기로 겸용할 수 있도록 만든 FA-50 완제기 수주가 1분기에 결정될 것으로 기대. 

- 더불어 미국 해군 고등훈력기 교체사업(64~ 234대)이 2023년 기종 선택 예정. 

- T-50 계열은 국내에서 152대가 운영중이고, 지금까지 수출된것은 72대, 말레이시아와 UAE 의 수주까지 확정되면 T-50 계열은 320대까지 늘어나게 됩니다. 

- 이렇게 되면 23년부터는 실적 턴어라운드가 가능해지고, 전투기 300대라는 수치는 성공한 기체로 평가를 받게 됩니다. 

- 여기에 만약, 미국까지 받게 된다면 회사가 달라지게 됩니다.  

 

- 이외 보잉과 에어버스에 기체부품을 납품하고 있는데, 21년 항공기 주문은 2018년 사상최대 인도를 넘어섰습니다. 

항공기 제작 시장은 결국 2018년 이상으로 회복하게 됩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그룹의 방산/우주 관련 중간지수사 역할

종속회사 :

* 에어로스페이스 - 가스터빈엔진, 엔진부품

* 한화시스템 : 레이더, 센서, 통신장비 

* 한화디펜스 : 자주포, 장갑차 

* 쎄트렉아이 

 

- 2021년 12월 호주 LAND 8116 자주포 0.93조원과 이집트 자주포 공급 사업 계약으로 한화디펜스의 2023년 매출은 2.2조원대으로 증가

- 한화디펜스 컨소시엄은 2020년 10월에 호주 LAND 400 사업(최대 11조원)의 최종 2사에 선정

=> 2022년 상반기에 우선협상 대상자를 결정

=> 수주 시 2026년 한화디펜스의 매출 3조원 중반, 영업이익 0.4조원으로 기업가치를 4조원으로 평가할 수 있음

 

-K9 자주포 : 2000년 국내 양산, 2001년 터키 기술수출. 2014년 폴란드 수출. 

-> 핀란드, 인도,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수출, 최근 호주와 이집트에 수출. 

--> 다음은 영국의 자주포 교체사업. (러시아-우크라이나 이슈로 동유럽 국가 이슈)

 

여기에 호주  LAND 400 사업(레드백)까지 따낸다면 실적이 크게 상향됩니다. 

 

6월15일 누리호 2차 발사 모멘텀도 있습니다.


[씨에스윈드]

유럽,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 낮추기 위해 풍력 등 재생에너지시장 대폭 활성화. 
유럽 풍력 시장, 2021년 17GW에서 2030년 40GW 상회 
씨에스윈드는 포르투갈, 터키법인 증설로 직접 수혜가 전망됩니다.

독일은 노드스트림2도 중단했고, 러시아로부터 PNG 공급에 문제가 생겼기때문에 친환경투자에 대한 의지를 밝힌점들이 포인트가 됩니다. 

 

[씨에스윈드] - 2월27일 코멘트
- 이번주 EU 에너지 대책발표에서 러시아 의존도 낮추는 방안에 대한 기대감.

- 화석연료 감축, 재생에너지 확대, ESS확대, 보조금에 관한 내용이 나올것으로 전망됩니다. 

- 지난해 미국의 베스타스 공장을 인수했고, 최근 ASM인더스트리 지분을 인수하며 유럽 해상풍력으로도 투자가 진행됐습니다. 

 

최근 영국과 독일에 강풍이 불면서 풍력 발전량도 큰 폭으로 증가됐는데, 풍력의 위력을 보여주는 모습입니다. 

[대형주 -> 중형주로 이동 : 현대미포조선, 대우조선해양, 팬오션, 씨에스윈드, 효성티앤씨로 연기금 매수세가 들어오는 중입니다] --> 2월23일 코멘트

 


[하이스틸] 

- 하이스틸 : 제1차 철강제조업에 해당되며, 강관제품 제조 ㆍ판매업만을 영위하는 단일사업부문으로 구성
- 종소회사 하이파워 : 정유, 석유화학 플랜트에 많이 쓰이고 있는  배관용, 프랜트용 강관을 열처리하는 사업을 영위

- 최근 러시아- 우크라이나 영향으로 철광석의 원재료 가격상승으로 판가 인상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고, 유가 상승에 따라 강관없체들이 부각을 받는 모습입니다. 

 


[NI스틸] 

- 건설 현장에 쓰이는 철강재들은 제조, 판매, 임대하는 업체.

- 이익비중 : 임대 사업 70% 비중

- 4분기 임대 매출 급증, 최근 단가 상승 30% 인상

- 리드타임 보통 3개월, 토목은 6개월내에 자재회수 건설 현장은 1년

- 영업이익 전망 400~ 500억, 시가총액 1,347억원으로 영업이익 대비 시총이 낮은 수준.


[LX인터내셔널] - 3월3일 코멘트

- 석탄 가격이 가속 올라가는 중입니다. 

- 석탄 관련 상사 : LX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 GS글로벌 등이 있습니다.

 

- LX인터내셔널 : 물류센터와 니켈 광산 투자를 비롯한 다양한 사업을 통한 수익원 다변화 진행중 

- 1분기 전망 : 매출액 4조 3,647억원(YoY 18.4%), 영업이익 1,877억원 (YoY 65.7%) 전망 

- 물류와 에너지/팜 부문의 호조로 큰 폭의 증가세 전망. 

- 자원 부문(에너지/팜)은 석탄과 팜 판가의 강세 지속에 따라 이 부분에서만 영업이익 1,067억원 전망. 

금요일 마감 기준 더 올랐습니다. 

 


* 하나금융투자 미래산업팀(스몰캡)

★ 미래에셋벤처투자 (100790.KQ): ‘잭팟’ 터트릴 기업 다수 포진, VC계 투자의 神 ★

원문링크: https://bit.ly/3hFLxaL

1.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0,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미래에셋벤처투자에 대해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0,000원으로 커버리지를 개시
-목표주가는 2022년 예상 EPS 1,960원에 Target PER 10.2배를 적용하여 산출
-국내 벤처투자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 스타트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이 향상되면서 글로벌 VC들의 투자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
-국내 VC시장은 현재 호황이며, 꾸준한 EPS 증가 및 영속성을 지닌 VC는 유의미한 밸류에이션 상승이 타당
-미래에셋벤처투자는 수년 전부터 투자해온 유망 기업들의 투자회수 시점이 도래있으며 타 VC와는 다른 높은 펀드 출자 비율과 고유계정 운용을 통해 이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

2. 지속 가능한 폭발적 이익 성장 가능, 대박 날 기업 多
-초기 투자 당시보다 현재 기업가치가 폭발적으로 성장한 기업이 다수 포진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잭팟’을 터트릴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극히 일부만 살펴봐도 이익 성장 규모는 상당할 전망
-국내 전자책 1위 기업 ‘리디’의 경우 시리즈A 단독으로 100억원 밸류에 투자가 이뤄졌으며, 현재 1조 6천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음(투자수익 약 160배에 달한다는 의미)
-고유계정으로 투자가 이뤄졌기 때문에 향후 지분 처분이익 전부 이익으로 고스란히 반영될 전망
-시리즈A, B, C단계에서 투자를 진행한 ‘오늘의집’은 2018년 200억원 수준이었던 기업가치가 최근 2조원 이상을 평가받고 있으며, 투자수익 100배 이상을 달성할 것로 보임

3. 2022년 매출액 3,211억원, 영업이익 1,205억원 전망
-미래에셋벤처투자의 2022년 예상 실적은 매출액 3,211억원(+16.8% YoY), 영업이익 1,205억원(+25.0%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현재까지 1천억원 이상 VCF가 결성됐고, 추가적으로 약 2천억원의 펀드와 함께 PEF 또한 결성될 예정으로 올해 AUM은 VCF 1조 1,410억원, PEF 5,608억원으로 총 1조 7,018억원(+33.5% YoY)을 기록할 전망
-올해는 IPO 예정 기업이 국내, 해외 총 7개 이상 예정으로 초기 투자했던 기업들의 가치 상승에 따른 처분이익 및 평가이익이 크게 반영될 전망
-올해 상장 예정인 ‘마켓컬리’의 경우 최근 4조원 이상의 기업가치를 평가받고 있으며, 미래에셋벤처투자는 300억원부터 6,500억원 밸류까지 4번에 걸쳐 초기 진입한 상황
-올해 조단위 가치평가를 받고 있는 투자 기업들의 IPO가 주가의 캐털리스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

'VIP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가람 VIP 22.03.07 저녁자료  (0) 2022.03.08
이가람 VIP 22.03.07 오전자료  (0) 2022.03.07
이가람 VIP 22.03.04 오전자료  (0) 2022.03.04
이가람 VIP 22.03.03 저녁자료  (0) 2022.03.03
이가람 VIP 22.03.03 오전자료  (0) 2022.03.03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