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VIP 자료

이가람 VIP 22.03.16 오전자료

이가람의 VIP 시크릿노트 2022. 3. 16. 08:25

Daily 신한 생각 3월 16일.pdf
6.17MB
daily_0316_하나금융.pdf
1.36MB
2022년 3월 16일 (수) KB 데일리.pdf
2.05MB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9.052 (+0.053, +0.05%)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1.8491% (-1.2bp)

- 10년물: 2.1473% (+1.4bp)

- 스프레드(10Y-2Y): +29.82bp (+2.61bp)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96.44 (-6.57, -6.38%)
- 브렌트유: 99.91 (-6.99, -6.54%)
- 천연가스: 4.60 (-0.06, -1.27%)
- 금: 1,929.70 (-31.1, -1.59%)
- 은: 25.158 (-0.14, -0.55%)
- 아연(LME, 3M): 3,798.00 (-11.0, -0.29%)
- 구리: 451.3 (-1, -0.22%)
- 옥수수: 758 (+9.75, +1.3%)
- 밀: 1154.25 (+58, +5.29%)
- 대두: 1,658.75 (-11.75, -0.7%)
- BDI: 2,727.00 (+9, +0.33%)

 

 LME거래소

알루미늄 3,393.00(+73.50,+2.21%)  
아연 3,839.00(+30.00, +0.79%) 
구리 9,964.50( +29.50,+0.30%)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NATO가입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라고 언급. 

바이든 대통령의 수주내 유럽방문 검토 라는 소식도 불안정안 동유럽에 안정심리 제공. 

 

푸틴은 "우크라이나가 사태 해결 의지가 없다" 라고 언급하며 장중 상승폭을 낮추기도 했었음.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시장은 안도감.

 

ECB 라가르드 총재는 "인플레이션 전망에 불확실성은 증가했지만 점진적인 감소를 보일것이며, 24년에는 2% 목표 수준에서 안정세를 보일 것" 이라고 주장. 

"올해 경제는 여전히 성장할 것이나, 전쟁이 경제성장을 낮추고 인플레이션을 높일 것" 이라고 언급하며 아직 불확실성은 있다는 얘기를 했음. 하지만 증시는 생산가물가지수 하회에 더 주목하며 물가 안정 기대심리에 반응했음. 

 

FOMC 앞두고 물가 상승압박이 심해진 시기에 중국 코로나 확산에 따른 봉쇄로 원유수요 감소 전망과 이란 핵합의 기대,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기조, OPEC의  국제유가 상승이 수요 예측을 하향조정 할 수 있음을 언급 등 여러 이슈가 겹치며 원유는 다시 100달러를 이탈하며 최근 130달러에서 95달러 까지 안정세를 보임. 

 

더불어 중국ADR 종목의 안정세를 보인점도 미증시 반등에 긍정적이었음.

알리바바(ADR) -1.29%, 텐센트(ADR) -3.29%, 바이두(ADR) -0.54%, JD닷컴 +7.08%


 

 

증시 반등에 따라 최근 약했던 종목들위주 강세를 보였음.

 

빅테크: META +2.89%, 아마존 +3.89%, 애플 +2.97%, 알파벳 +2.58%

 

EV: 테슬라 +4.63%, Lucid +2.00%, Rivian +3.27%, TuSimple +7.57%, Canoo +7.53%, NIO +5.89%

 

데이터센터: 인텔 +0.92%, AMD +6.92%, 엔비디아 +7.70%, 마벨 +9.18%

 

메모리, 스토리지: 마이크론 +5.35%, WDC +3.31%, 실리콘 모션 +2.59%, Seagate +2.62%, 

파운드리, 후공정: TSMC(ADR) +2.81%, 글로벌파운드리 +12.63%

 

장비: ASML(ADR) +3.32%, AMAT +3.56%, 램리서치 +3.35%

 

엔비디아+7.7% : 메타버스에서 가장 강력한 회사를 저렴하게 매수할 수 있는 기회라는 평가. 

 

항공주 강세 : United Airlines +9.19%, American Airlines Group +9.26%  Southwest Airlines +4.86% 등 제트유 급등에 따른 비용증가 우려가 있지만, 예상보다 여행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는 소식. 

 

여행 관련주  : Carnival +5.37%, Norwegian Cruise Line +6.80%, The Walt Disney +4.01%, Six Flags Entertainment +1.16%, Live Nation Entertainment +3.35%, Eventbrite +4.31%

 

호텔 관련주 : Hilton Worldwide Holdings +1.93%, Marriott International +2.87%, Hyatt Hotels +1.53%, InterContinental Hotels Group +2.26%

 

카지노 관련주 : Wynn Resorts +3.95%, MGM Resorts International +3.32%, Las Vegas Sands +1.76%, Caesars Entertainment +4.17%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7.56 (+0.74, +1.11%)
- MSCI 이머징지수 ETF: $41.6 (+0.06, +0.14%)
- 필라델피아 반도체: 3,180.24 (+132.74, +4.36%)
- Eurex kospi 200: 353.85p (+3.55p, +1.01%)
- NDF 환율(1개월물): 1,242.48원 / 전일 대비 1원 하락 출발 예상

 

코스피는 +0.7% 내외 상승 출발 예상. 

 

FOMC 앞두고 라가르드 ECB 총재의 점진적 인플레이션 안정 주장 / 국제유가 급락 /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예상치 하회로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로 미증시 강세인 점은 우리증시에 긍정적. 

 

특히 최근 하락이 컸었던, 빅테크 기술주의 큰 반등,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4.3% 강세도 우리증시에 긍정적. 

 

중국 경제 봉쇄 정책과 중국의 러시아 지원가능성, 사우디가 중국 수출원유 위안화 결제 적극 검토 소식은 부정적. 

 

FOMC 발표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단기 반등 시도하며 출발 이후, 10시30분 중국,홍콩 증시 변화에 따라 또 다시 변동성이 가능해, 10시30분 중화권 증시상황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음. 

 

지수반등시 : 지수관련 대형주, 낙폭과대 기술주, 게임, 2차전지에 관심, 더불어 리오프닝 종목도 지속 관심 필요. 


유가·인플레 공포 진정에 뉴욕증시 환호…나스닥 2.9%↑ | 연합뉴스 (yna.co.kr)

 

미 2월 생산자물가지수 10% 상승…예상치 부합 (naver.com)

 

국제유가, 배럴당 100달러선 아래로 마감…1주만에 20%↓ (naver.com)

 

러시아, 바이든·블링컨·오스틴 등 美 정부 고위인사 제재(종합) (naver.com)

 

페트로달러 균열?…"사우디, 中수출원유 위안화 결제 적극 검토" (naver.com)

 

美 연준 부의장 지명자, 공화 이어 민주 내부서 반대하자 사퇴 (naver.com)

 

델타항공 CEO "코로나19 대유행 시대는 종식됐다" 선언 (g-enews.com)

 

[우크라 침공] 4차 평화협상 16일 재개…"타협의 여지 있어" | 연합뉴스
https://m.yna.co.kr/view/AKR20220316007200108?section=search

 

블룸버그 "러시아 1500억 달러 규모 디폴트 선언 임박"(상보) (naver.com)

 

 


- 인터파크투어, 해외 입국자 격리 면제 발표 이후 3일간 해외 항공권 예약 전월 같은 기간 대비 +281%

"‘3.21 격리면제’ 발표 후, 해외항공권 9.7배 폭증"- 헤럴드경제 (heraldcorp.com)


[유안타 유통/레저 이진협]

※ 레저업종 : 리오프닝 - P, Q, C 관점에서

# 자료 원문 보기 : https://bit.ly/3IdxTqk

- 당사 업종 내 선호도 '여행 > 외인 카지노 > 내국인 카지노' 순으로 제시

[유안타 레저업종 커버리지]
- 하나투어(BUY, TP 11만원) : 레버리지가 가장 큰 기업

- 모두투어(BUY, TP 3.4만원) : 돌다리도 두드리며 걷는 타입

- 강원랜드(BUY, TP 3.3만원) : Las Vegas 사례가 가장 부합하는 회사

- 파라다이스(BUY, TP 2.2만원) : 레버리지가 기대되는 카지노 

- GKL(BUY, TP 1.9만원) : 용산으로 간다

- 롯데관광개발(Not Rated) : 코로나19 이전과 이후가 완전히 다른 회사

 


롯데관광개발(유안타)

-투자의견 Not Rated. 코로나기간중 카지노 영업 환경 비정상. 23년 카지노발 매출 2,000억 기록시 주당 2.8만원 수준

-타워2 개장으로 객실 2.4배 증가.  4Q21 OCC 91%육박. 현추세 고려시 OCC 70% 달성 예상

-제주 신공항 건설 논의 본격화로 공항 CAPA 부담 해소 가능성 존재


하나투어(유안타)

-목표주가 11만원, 레저업종 당사(유안타) Top Pick

-리오프닝 초기 공급 부족 전망으로 P,Q 모두 긍정적

-50%이상 인력 감축, 17개 자회사 청산 등으로 레버리지 효과 레저업종 중 가장 클듯

 


[유진투자증권 박종선] 
 [레이(228670.KQ)/유진투자증권 코스닥벤처 박종선 ☎️368-6076] 
 ★ 글로벌 성장 지속 + 중국 본격 진출 추진 
 ☞ Corporate Day 후기: 중국 진출 본격 추진 및 3D 구강스캐너 사업 본격화 전망 
 ☞ 1Q22 Preview: 매출액 +20.0%yoy, 영업이익 +375.3%yoy. 수익성 회복 전망 
 ☞ 현재주가는 2022년 기준 PER 13.3배. 동종업계 대비 소폭 할증되어 거래 중 
 https://bit.ly/3IekrT8 


의료기기 골드만삭스 코멘트


제이시스메디칼: TP 19,700원

제이시스는 최근 CFO의 컨퍼런스콜에서 시노슈어의 강력한 +83% YoY 브랜드 Potenza(RF 디바이스) 수출 덕분에 2020년 2월 수출 증가율이 8백만달러(+31% YoY)에 근접했다고 보고했다. 
차세대 HIFU 디바이스 출시가 예상되는 2분기에 대한 수요 푸시아웃 때문에 HIFU 디바이스 수출(+1%YoY)에 대해서는 염려하지 않는다. 
제품의 차별화를 수반하는 HIFU 디바이스의 업그레이드는, 향후의 분기 성장 모멘텀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클래시스: TP 38,000원

클래시스는 꾸준한 성장세를 지속하여 590만 US$, YoY +25%를 기록했다. 견고한 소비성 매출 200만달러(+19% YoY)와 HIFU 디바이스 수출 성장률(+28% YoY)은 1분기 매출 전망을 뒷받침하지만, 한국 국내 디바이스 매출 전망(+242% YoY)을 되살리면 클래시스가 성장률(매출 +38% YoY, 수익 +46%YoY) 의 강력한 변곡점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


[NH/박병국] 의료기기산업 - 내용이 엄~~청 깁니다.

[의료기기산업] K-의료기기, 큰 폭의 리레이팅 될 것

선호 기업 바텍, 클래시스, 덴티움, 대웅제약 제시

1) 바텍: ‘22년 PER 7.7배, 타기업 대비 저평가, 2)클래시스: 핵심은 장비 비중 확대, 3)덴티움: 밸류 임플란트 시장 3.5조원, 잠재 시장 10배로 이제 개화기, 4)대웅제약: 영업이익 성장 ‘22년 16%, ‘23년 12%, '24년 16% 추정

▶️ 보고서 링크 : https://bit.ly/3tYfMiP

 

 

[신한금융투자 혁신성장 오강호, 심원용] 
위지윅스튜디오: 2022 트렌드를 만들다

▶️ 4분기 매출액 556억원(+2% YoY), 영업적자 3억원 기록
- 코로나19로 드라마, 영화 부문 제작 지연 및 비용 증가 
- 4분기 영업비용은 559억원(+10% YoY) 기록
- 매출액 콘텐츠 385억원(+4% YoY), 전시 대행 105억원(+9% YoY) 추정

▶️ 2022년 1) 메타버스 시장 개화, 2) 주요 작품 방영 예정
- 1) 글로벌 기업들의 시장 참여 확대, 
- 2) 엔터, 쇼핑, 제조 등 플랫폼 다변화, 
- 3) MZ 세대의 메타버스 관심 증가가 시장 성장을 견인
- 2022년 원스톱 플랫폼(제작, 편집)을 바탕으로 시장 진입 확대에 관심
- 2022년 재벌집막내아들, 블랙의신부 등 주요 작품 반영도 긍정적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45,000원으로 상향 
- EPS 추정치를 2022년 → 2023년으로 변경
- 1) 주요 자회사의 실적 증가, 2) 코로나19로 지연된 방송 작품 확대가 긍정적
- 높은 시장 관심에 따라 밸류에이션 리레이팅도 충분히 가능

위지윅스튜디오 원문 보고서: http://bbs2.shinhaninvest.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01572


유안타증권_코리아써키트_20220316071810.pdf
0.83MB

코리아써키트

[1Q Preview: 실적 추정치 상향 조정]

1Q22 예상 연결 영업이익 306 억원

2022년 실적 추정치 상향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4.3 만원으로 상향 조정

'VIP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가람 VIP 22.03.16 저녁자료  (0) 2022.03.17
이가람 VIP 22.03.16  (0) 2022.03.16
이가람 VIP 22.03.15 저녁자료  (0) 2022.03.16
이가람 VIP 22.03.15 오전자료  (0) 2022.03.15
이가람 VIP 22.03.14 저녁자료  (0) 2022.03.15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