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美, 베이징 올림픽 외교 보이콧에... 中 “단호한 대응 조치 할 것”
美, 베이징 올림픽 외교 보이콧에... 中 “단호한 대응 조치 할 것” (naver.com)
WSJ "일정 3개월 당겨질듯"
이달 중순 FOMC회의서 확정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심각해지자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내년부터 이 계획에 보다 속도를 낼 것임을 시사해왔다. 내년 3월 테이퍼링을 종료하겠다는 일정은 골드만삭스와 같은 민간 투자은행에서 전망한 것과 일치한다. 이렇게 테이퍼링 일정을 앞당김에 따라 기준금리 인상 시기 역시 예상보다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된다.
인텔, 자율주행에도 손뻗는다…"관련 자회사 상장추진" (naver.com)
인텔, 자율주행에도 손뻗는다…"관련 자회사 상장추진"
- 관련주 : 칩스앤미디어 (오늘 이 이슈로 오르긴했습니다)

인텔 장전거래 +8.6% 상승중
삼성重, 7339억 규모 LNG운반선 3척 수주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14&aid=0004752015
TGA 2020 뜬 펄어비스 '붉은사막'…올해 신작 공개하나 (inews24.com)
도깨비 등 주요 신작 공개 가능성…TGA 2021 10일 개막
더게임어워드(TGA) 2020에서 '붉은사막'을 공개한 펄어비스가 올해 TGA서도 글로벌 게임팬에게 러브콜을 보낼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TGA는 게임계의 '오스카'로 불리우는 북미 최대 게임시상식이다.
경광호 펄어비스 홍보실장은 TGA서 신작 정보를 공개할지 묻는 질문에 즉답하진 않았지만 "전 세계 게임팬들에게 새로운 경험과 정보를 공개하고자 시기와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위메이드 '미르4 글로벌' 게임 아이템, 9600만원 상당 암호화폐로 거래돼 | 다음뉴스 (kakao.com)
미르4 캐릭터 NFT 거래소는 12월21일 오픈 예정입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LG엔솔 상장.
- 예상 시총 60~70조
- LG화학, LG엔솔 구주매출로 지분율 80%로 감소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0876419
[주요공시]
[지분확대]
*코렌텍 : 대표이사 3,000 주 추가취득
*키움증권 : 계열사 한국정보인증 500주 추가취득
*한국항공우주 : 상무 190주 추가취득 / 180주 추가취득
*엠로 : 에셋플러스자산운용 5.2% -> 6.79% 확대 (ETF확대)
*원티드랩 : 에셋플러스자산운용 5.62 -> 6.73%로 확대 (ETF확대)
*BGF리테일 : JPMorgan Asset Management 5% 취득공시
*브릿지바이오 : 대표이사 40,000 주 추가취득
*다믈멀티미디어 : 최대주주 베노홀딩스 251,712주 추가취득
[지분축소]
*유니슨 : BlackRock Fund Advisors 5.02%->3.37% 축소
*대한유화 : 200주 매도
[신규시설투자]
네패스아크 : 시설 투자 확대에 따른 신공장 건설
[수시공시]
이오플로우 : - EOPatch 등의 독점판매계약 체결 / 계약상대방 : PT. Prasasti Nusantara Sukses(인도네시아)
[시가총액 대비 기관 순매수]
아톤, 신세계, 게임빌, 효성화학, 에스엠, 자화전자, 에스앤에스텍, 코스맥스, 서진시스템, 네패스, kg모빌리언스, kg이니시스, 루트로닉, 덕산네오룩스, 오스템임플란트, 엘오티베큠, 코스모신소재, 효성티앤씨, 오스코텍, 알테오젠, 레고켐바이오, 플리토, 화승엔터프라이즈, 영원무역, 한세실업
리오프닝 : 신세계, 에스엠, 코스맥스, 루트로닉, 오스템임플란트, 화승엔터프라이즈, 영원무역, 한세실업
제약바이오 : 오스코텍, 알테오젠, 레고켐바이오
게임 : 게임빌
반도체 : 에스앤에스텍, 네패스, 엘오티베큠
화학 : 효성화학, 효성티앤씨
5G : 서진시스템
결제: KG모빌리언스, KG이니시스
AI : 플리토
금리 1.50~1.55%를 상단으로 잡아놓고 매크로가 리스크오프가 아니라면 금리가 낮은 상황에선 바이오테크가 좋은 상황인데, 그게 지금 나타나는 중입니다.


12월11~14일 미국혈액학회(ASH) 개최
한미약품, 보령제약, 지씨셀, 에이비엘바이오 등이 참가.
22년 1월10~13일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개최예정.
현재까지 알려진 참가기업 : SK, 삼성바이오로직스, LG화학, 한미약품, 대웅제약, 파멥신, 네오이뮨텍
(12월 중순은 넘어야 정확한 기업을 알 수 있음)
[알테오젠] - 12월5일 코멘트
- 다음주 2021 대한민국 바이오 투자 컨퍼런스에 참석하는데, 메인컨퍼런스는 아니라는 점이 아쉽지만 최근 기관 NDR의 내용이 긍정적이었습니다.
- NDR 내용공유
-연내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IND 신청 및 판권 계약 후 마일스톤 유입 기대
- 글로벌 제약사가 포함된 MTA 기술이전 협의중.
- 2022년 키트루다 SC 임상 성공 시 기술 재평가 기대.
-> 최근 제약바이오 반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알테오젠은 금융투자 + 투신 + 연기금 + 사모펀드 . 기관창투의 매수세로 반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어제는 사모펀드가 대량으로 사들어왔는데, 오늘도 나가지 않고 더 사들인 모습입니다.

[오스코텍]
- 레이저티닙 3분기 원외처방액 404억원(YoY -34%) 감소
- 레이저티닙 4분기는 의료기관 약사심사위원회 통과 기관 증가로 원외처방액 약 50억원(QoQ +233%) 전망
- 국내 판권은 [유한양행]이 보유하고 있어, 매출 로열티의 10~15%가 유입될 것으로 추정
- 내년 4분기 레이저티닙 미국 FDA 승인 되면 수 백억원 규모의 마일스톤 유입이 예상
- 내년 암 학회 에서 폐암 1차 치료제(MARIPOSA1) 병용 임상 중간 데이터 발표 기대
- FLT3 타겟 신약 물질 SKI-G-801 백혈병 1상 발표가 올해말~내년초로 예상되는데,
-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관련 내용과 타우 타겟 항체 치매 치료제 관련 파이프라인 소개할 것으로 전망




[메드팩토]
- 공식발표는 없지만 루닛, 고바이오랩, 메드팩토, 파멥신, 에이비엘바이오 등이 현지에서 파트너링 업무 수행할 것으로 전망.
- 올해 Keytruda와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 임상 2상 진입할 계획이었으나 임상 프로토콜 변경으로 지연되었음.
- 2022년 상반기 대장암 환자 대상 임상 3상 진입 예상, 췌장암 대상 임상 1상 결과발표 후 임상 2상 진입 기대.
- 신규 물질에 대해 프로젝트 중이며, 22년초 발표할 것으로 예상.

[화승엔터프라이즈]
- 기관 NDR을 진행.
- 4분기 베트남 현지 동향
- 3분기 베트남 호치민이 락다운으로 20% 이하로 하락했던 본 공장 가동율은 10월 60%, 11월 80% 후반까지 상승.
- 인도네시아, 중국 등을 모두 포함한 전체 평균 가동율은 80% 수준까지 회복. 12월에는 본 공장 가동율이 좀 더 회복되면서 전체 가동율은 90% 수준까지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회사측은 공장 가동 정상화 시기, 즉 가동율 98% 도달 시점을 내년 1분기말, 2분기초쯤으로 예상(1분기 예상 가동율은 90~98% 내외로 예상). 정상 가동 시기에 대해 다소 보수적으로 전망하는 이유는 베트남 경제 활동 회복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기 때문.
- 코로나사태로 글로벌 벤더사들간 경쟁심화되었는데, 상위 5위권 업체의 가동전면 중단으로 화승엔터의 점유율이 1% 상승.
- 나이키는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제품을 원활히 받지 못해 매출에 영향을 받는다고 언급.
- 이런 상황이기때문에 오히려 수주에 대한 우려감은 없음.
- 하지만 공급방 병목 현상으로 고단가 중심의 2022년 S/S 시즌 신제품 출시가 원활히 되고 있지 않는 점은 단기적으로 고객사나 제조사 모두에게 부정적
- 베트남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인도네시아에 설비투자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짐.
일회성비용
- 백신을 접종한 근로자만 회사측이 제공한 숙소에서 출퇴근 가능. 이 때문에 분기당 20-30억원의 숙식 제공 비용과 백신접종 비용 등 관련 비용은 코로나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 당분간 계속 발생할 것으로 보임
--> 우선 오늘은 미증시에서 리오프닝/ 의류섹터가 오르면서 우리나라에서 의류종목이 상승했고, 그중 화승엔터와 한세실업, 영원무역의 상승이 나타남.
--> 우선 기대감이 크진 않지만 리오프닝의 섹터순환매 성격이 나타난 것으로 추정.
[코스맥스]
화장품 업종 :
-11월 화장품 수출 +19.4% 증가, 중국향 화장품 수출은 +37.7% 증가.
전년도 11월 성장률이 높았던 것을 감안시 고무적인 수치. 10월 중국 화장품 소매판매는 +7% 성장
- 4분기 성장률 회복은 중국 소비 둔화 및 한국 화장품 브랜드 인지도 저하 불확실성을 완화시킬 수 있음.
- 4분기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와 코스맥스 중국 사업 매출은 +30% 이상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 3분기 실적 컨센대비 크게 하회 발표 이후 주가가 크게 밀렸는데, 최근 10만원가격을 다시 회복하면서 기관수급이 다시 들어오는 중.
- 과도한 하락에 따른 저가매수세 정도로 인식.
- 22년도의 성장지속은 의문점이나, 3분기대비 4분기 회복할 종목에 대한 섹터순환매의 과정.
[플리토]
-집단지성방식의 각종 언어데이터를 구축 및 판매하는 기업 (언어 전문 기업)
- 플랫폼을 통해서 텍스트, 이미지, 음성의 데이터를 모두 구축
- 세계 300만명의 번역가들이 플리토에서 활동
- 고객사 :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네이버, 카카오,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NTT도코모, 바이두, 오라클, 텐센트 등
- 신규사업 : 영상 콘텐츠 관련 번역 사업 진행( 예 유튜브의 영상 자동번역과 같은)
- 2019년 공모가 26,000원 상장이후 계속 공모가 하회하다 올해 공모가 위, 아래를 왔다갔다 하는 중.
- 10월29일 : BNK금융지주 대상으로 100억 전환사채 발행 (이자 0%, 전환가 25,100원)
- 특별한 이슈는 부각되지 않는 가운데, 사모펀드가 매일 사면서 주가를 올려놨는데,
AI 음성인식 관련으로 셀바스 AI 가 크게 올라가고 있어, 음성인식, 인공지능 관련으로 같이 부각 받는 것으로 추정.


[KG모빌리언스, KG이니시스]
KG모빌리언스, 최고업무책임자에 네이버 출신 이재학 - 파이낸셜뉴스 (fnnews.com)
이 뉴스가 발단이 되면서 주가 상승.
- 다날과 갤럭시아머니트아와 달리 KG모빌리언스는 암호화폐 결제서비스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
- 하지만 이번 신입 최고업무책임자(COO) 취임사에서 "전자결제 시장을 넘어 가상의 세계에서 플랫폼 회사로 변화해야 한다." 고 언급.
- 이 소식에 따라 KG모빌리어스도 암호화폐 결제서비스를 출시할 가능성이 제기됨.
- 결제서비스 카드결제 : KG이니시스, NHN한국사이버결제, 토스페이먼츠가 70%이상 점유
- 모바일결제 : KG모빌리언스, 다날, 갤럭시아머니트리 80%이상 점유으로 과점형태.
3분기 매출(억) | 3분기 영업익(억) | 자본총계(억) | 시가총액(억) | |
KG모빌리언스 | 781 | 124 | 3,023 | 4,251 |
다날 | 685 | 17 | 3,260 | 1조411 |
갤럭시아머니트리 | 264 | 12 | 897 | 4,845 |
돈 제일 잘버는 결제회사가 암호화폐와 연계가 되지 않으면서 가장 소외됐는데, 이 부분이 반영되어야 합니다.
KG모빌리언스가 좀 더 확실한 신사업을 보여준다면 KG모빌리언스의 시총이 올라가던지, 다날와 갤럭시아머니트리가 그 만큼 내려오던지 해야 됩니다.
* 상해상품거래소 철강 선물가격 업데이트*
= 열연 +1.0%, 철근 +1.3%
1, 中 인민은행, 헝다 위기 대응 위해 지준율 전격 인하
= 15일 부터 지준율 0.5%pt 인하, 이로써 중국 금융기관의 평균 지준율 8.4%.
= 헝다사태로 부동산 시장 연쇄 부도 가능성 커지며 경색된 시장 분위기 차단 위해 중앙은행이 선제적으로 나선것으로 보여
2, 헝다, 디폴트 선언은 없었다... 리스크해소위원회 출범
= 쉬자인 회장을 주석으로 한 리스크해소위원회 출범. 이는 부채 구조조정 임박했다는 신호
= 이후 국유기업들 동원해 헝다 건설 프로젝트 넘겨 받게 할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 정부 차원 개입 해결 불가피
3, 중국의 ‘14차 5개년 산업 녹색발전계획’이 철강산업에 지니는 의미는?
= 2030년 탄소배출 정점 달성 위해 '25년까지 중국 산업 부가가치 생산 단위당 탄소배출량 '20년 대비 18% 감축 목표 설정
= 이에 중국 철강업계, 연간 5.3억만 톤 규모 철강 생산능력 초저배출 기준에 부합하도록 업그레이드 필요
4, 국제유가 약세 불구, 리그수 증가 이어져
= 오미크론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와 이로 인한 국제유가 약세에도 북미지역 리그수 4주 연속 전주 대비 증가
= 12월 첫 주 기준 북미지역 리그수 749 곳으로 전주 대비 9곳, 1.2% 증가
5, 세아베스틸, 선철 계약 · 가격 수급 모두 잡는다
= 세아베스틸, 최근 계약가격 톤당 536달러(63만원)에 인도산 선철 3.5만톤 수입 계약 체결
= 현재 국내 생철 가격 톤당 67만원 정도라는 점 감안시 선철 수입 가격 철 스크랩 가격보다 낮아. 원가 절감과 수급안정에 기여 전망
6, 中 철광석 가격 100달러서 보합
= 전거래일 대비 1.9달러 상승한 100.4 달러 기록, 최근 톤당 90달러대 후반에서 100달러 수준 등락
= 중국 내 당산 지역 감산 및 이에 따른 철강재 가격 반등 영향으로 철광석 구매 움직임 다시 나타나기 시작
'VIP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가람 12.9 (0) | 2021.12.09 |
---|---|
이가람 VIP 12.8 (0) | 2021.12.08 |
이가람 12.6 (0) | 2021.12.07 |
이가람 VIP 12.5 (0) | 2021.12.05 |
이가람 VIP 12.2 (0) | 2021.12.02 |